중국 관영매체가 우리 국적 항공사들의 일부 한중노선 운영 중단 방침에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다. '한국 관광지와 면세점에서 중국인들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협박성 주장까지 서슴지 않았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26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일부 한중 노선 운영을 일시 중단한 것과 관련해 "윤석열 정부는 친미와 친일 노선으로 매우 기울어진 외교 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는 물론 한반도 긴장을 불러일으키는 명백한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둥샹룽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의 주장을 인용해 "탑승객 감소로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항공노선을 중단하는 것은 합리적"이라면서도 "승객이 적은 배경에는 분명히 정치적 요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은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덜 매력적인 여행지가 됐고 한국 상품의 인기도 떨어졌기 때문에 한국 면세점과 관광지에 중국인 관광객이 몰려드는 모습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내놓았다.
앞서 대한항공은 중국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김포~베이징을 오가는 노선 운항을 오는 8월 1일부터 10월 28일까지 운항하지 않기로 했다. 인천~샤먼 노선도 8월 9일부터 10월 28일까지 운항하지 않는다. 아시아나항공은 7월 6일부터 김포~베이징 노선을, 7월 8일부터는 인천~선전 노선 운항을 각각 중단한다. 인천~시안 노선은 이미 지난 20일부터 운항하지 않고 있다. 이들 노선의 운항 중단 기간은 10월 28일까지다. 이들 항공사의 중국 일부 노선 중단은 일시적인 것으로 올해 전체적인 중국 운항 횟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국적 항공사들의 이 같은 조치는 중국 여객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경영적 판단이다. 중국이 한국 단체 관광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노선 수요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자 항공사들이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경영 전략이다. 올해 1~5월 중국 노선 이용객 수는 120만6천374명으로 코로나 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6.7% 수준에 그쳤다. 중국은 국내 항공사들의 이 같은 경영 전략에까지 정치적 잣대를 들이대며 우리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중국의 이런 적반하장격 감정적 대응은 한중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자충수가 될 뿐이다.
[사설] 우리 항공사까지 협박하는 도 넘은 중국의 언행
입력 2023-06-27 19:58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6-28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