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은 방송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에서 사실상 쿠데타를 통해서 대통령이 됐다"고 말했다. 불필요할 뿐 아니라 사실에도 맞지 않는 발언이다. 윤 의원은 "물리적 쿠데타를 얘기한 게 아니다"라며 "(조국 수사에 대해) 항명을 했기 때문에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했지만 부적절한 표현이다. 국민의힘은 "대선 불복선언이자 국민에 대한 도전"이라며 반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자유총연맹 기념식 축사에서 지난 정권의 종전선언 시도 등을 거론하면서 '반국가세력'이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물론 대통령실은 지난 정권을 겨냥한 발언이 아니라고 했지만 누가 봐도 문 정권을 의식한 발언이다. 이러한 극단적 발언들이 여야 관계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
지난주 단행된 개각 명단에도 극우 성향의 인사들이 발탁돼 논란이 일고 있다. 윤 대통령은 통일부 장관에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를 지명하고, 차관급인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에 유튜브에서 상식 이하의 가짜뉴스를 유포한 김채환 유튜버를 지명했다. 윤 대통령은 기회 있을 때마다 "허위 선동과 조작, 가짜뉴스가 자유 대한민국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평소 소신에도 맞지 않는 모순적인 인사가 아닐 수 없다. 5부처 차관에는 대통령실 비서관을 전진 배치했다. 이번 인사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이동관 대통령 특보가 만약 방통위원장에 내정되면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이다.
윤 대통령 취임 2년 차에도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30%대를 넘지 못하고 고착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도층의 지지를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게다가 국회 의석도 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이다. 이를 만회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이념적으로 과도한 우편향을 택하는 것이라면 잘못된 전략이 아닐 수 없다. 박인환 경찰제도발전위원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간첩'이라고 단정하기도 했다. 현 정부 인사들의 무분별하고 극단적 발언들이 야권의 또 다른 극단적 언어들을 양산할 수 있다. 윤 의원의 발언이 바로 그러한 경우다.
여야의 강경 대치가 정치를 황폐화하는 마당에 대통령과 야당 인사의 발언들은 위험하기까지 하다. 국민을 통합하고 협치를 복원시키기는커녕 의도적으로 갈라치기를 하려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시대착오적 발언들에 대해 맹성을 촉구한다.
[사설] 도를 넘은 대통령과 야당 인사의 발언
입력 2023-07-02 19:39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7-03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