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 준공영제 버스에 대한 사모펀드(PEF)의 지배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차파트너스자산운용(차파트너스)이 올해 1월에 인천 선진교통, 인천 제물포교통에 이어 지난달에는 주요노선을 운행 중인 선진여객까지 수중에 넣은 것이다. 이로써 차파트너스 소유의 인천지역 준공영제 시내버스는 총 10개 업체로 증가했다. 인천시의 전체 준공영제 버스업체는 34곳인데 대략 30%가 사모펀드에 장악되었다.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에게서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로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아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다. 단기간에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사모펀드가 준공영제 시내버스를 사들이는 이유는 안정된 고수익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버스준공영제는 시내버스 운영을 지자체가 맡고, 각 버스회사는 운행과 차량관리 등을 맡는 형태이다. 대중교통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인천시는 시내버스업체들에 운전직 인건비, 복리비, 연료비 지원은 물론 일정 수준의 이윤까지 보장하고 있다. 시내버스회사의 통상이윤은 3% 정도인데 준공영제 시내버스는 최소 6%대 수익률이 보장되는 매력적인 금융상품이다.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특별시·광역시와 제주도에서 버스 준공영제를 실시 중인데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버스회사들을 야금야금 사들이고 있다. 차파트너스가 운영 중인 준공영제 버스회사 17개 업체(서울 6곳, 인천 9곳, 대전 2곳)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으로 425억원을 벌었으나 이보다 71억원이 많은 497억5천만원을 배당했다. 일부 사모펀드들은 버스업체들의 도심 차고지까지 팔아 투자자들에 배당했으며 심지어 버스업체들이 보유 중인 이익잉여금까지도 나누어 가졌다. 준공영버스로 지정되면 적자가 나더라도 지자체가 세금으로 보전해주기 때문이다.

지자체들의 준공영제버스 지원금액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서울·인천시가 차파트너스 버스회사 15곳에 2022년까지 지원한 재정지원금은 2천675억원에 이른다. 서울시는 재정지원금이 예산을 초과하면서 은행대출까지 받았다. 서울시가 다음 달 12일부터 버스요금을 300원 인상할 예정인데 공영제버스 지원예산 부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지자체들은 사모펀드들의 준공영제 버스사냥 대처에 역부족이다. 정부가 앞장서서 혈세 낭비를 서둘러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