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사이를 잇는 유일한 철도망(경원선 국철)이 끊긴 지 4년이 지났는데, 마땅한 대책이 없어 지역경제가 쇠락 일로를 걷고 있다. 동두천~연천의 경원선 전철 연결 공사가 막바지에 이르며 지역주민들은 연천~철원 구간 국철 운행이 재개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정부는 열차 노후화 등의 이유로 국철 재개가 불투명하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당초 동두천~연천 전철화 사업이 진행된다는 이유로 연천~철원 국철이 멈췄는데 정작 해당 노선이 10~11월 사이 개통을 앞두고 있음에도 연천~철원 국철은 재개되지 못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맞은 셈이다.

국철을 운영하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이를 관할하는 국토교통부는 국철을 달리는 디젤 열차의 사용 연한이 다 돼 폐차 상태에 이른 점에서 재개가 사실상 어렵다고 한다. 대신 철도공단과 연천군이 4년 전 각각 40억여원씩을 투입해 동두천~철원을 잇는 완행 직행버스를 하루 12대(왕복 92회) 운영해 왔지만 이마저도 10월까지다. 말 그대로 임시수단이다. 이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문제는 무너져가는 지역경제다. 연천군 경원선 신탄리역은 여름철 더위를 피해 인근 계곡과 고대산 휴양림 지역 명소가 밀집한 관광지역이다. 하지만 지난 2019년 4월 이후 연천~철원 경원선이 끊긴 이후 관광객 등 이곳을 찾는 사람이 눈에 띄게 줄었다. 국철을 대신해 대체버스가 투입됐지만, 국철을 대신하기에 턱없는 수준의 교통편이라는 게 지역민들의 목소리다. 특히 과거 경원선을 이용하고 홍보하는 것 자체로 관광객의 이목을 끄는 효과가 있었지만, 버스는 그런 역할을 못할 뿐더러 탑승 인원에도 제한이 있다.

문제는 뚜렷한 대책도 대안도 없다는 점이다. 당초 구간을 오갔던 디젤 열차 2대가 올해 연말 폐차를 앞두고 있다. 연천~철원 구간까지 전철화 사업을 고려해볼 수는 있지만,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하는 등 절차가 까다로워 단시간 내에 (사업이)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그렇다면 정부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지난 4년간 무얼 했단 말인가. 게다가 연천군은 정부가 그토록 지원을 마다 않는 지역소멸위기지역이다. 철도는 지역 경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통수단이다. 하루빨리 운행 재개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 지역경제도 활성화 되고, 지역도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