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위험 큰 소형가전 별도공간 없어
타는 냄새나면 일 멈추고 상황 살필뿐
1톤 고철 20~30명씩 가져와 정체불명
경기도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정책 확대

자원순환시설 내 화재 원인으로 리튬전지 등의 자체 발화가 꼽히는 가운데, 부천 등 대규모 자원순환시설은 화재 위험성 큰 소형가전을 별도로 보관하는 등 피해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 나섰지만, 소규모 고물상은 공간 충분치 않은 데다 다양한 물품이 들어와 화재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후 4시20분께 오산시 갈곶동의 한 고물상에서 불이 나 5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같은 날 1시간여 뒤에는 화성시 장안면의 플라스틱 재활용 업체에서 불이 나 4시간여 만에 잡히기도 했다. 자원순환시설 내 화재는 규모와 무관하게 발생한다.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 자원순환시설에서 매년 60건 내외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앞서 고물상 등 소규모 자원순환시설에서 불이 난 것과 달리 지난달 초에는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부천시자원순환센터에서 나흘 만에 재차 불(4월9일자 7면 보도)이 나기도 했다.

자원순환시설 내 화재는 소형가전 등에 들어있던 리튬전지가 압력을 받으면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일차적으로 재활용 수거 차량에서부터 폐기물에 압력이 가해지는데, 센터 내에서 압축된 폐기물을 옮기기 위해 롤러로 미는 과정에서 재차 압력이 가해지고, 집게차로 집으면서 또 다시 압력이 가해지는 등 일련의 압축 과정에서 불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도내 한 자원순환센터에서 일하는 김모씨는 “센터 내에서 불이 나는 건 일상”이라며 “119를 부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불을 끄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이어 “한창 재활용을 선별하다가도 고무 타는 등의 냄새가 나면 직원들 모두 일을 멈추고 긴장한 채 상황을 살피는 게 습관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시에서 소유하는 자원순환센터의 경우 화재 위험성이 높은 소형가전을 시설 밖 야외 공간에 별도로 보관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부천시 관계자는 “위탁업체와 협의해 소형가전을 두는 지점을 시설 외부로 아예 분리했다”며 “본래 일주일에 한 차례 진행되던 소형가전 반출 기간을 단축하는 것도 추가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른바 ‘고물상’으로 불리는 소규모 자원순환센터의 경우 시설 내부로 들어오는 물품이 다양한 데다 공간도 비좁은 경우가 많아 대책 마련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불이 난 오산시의 고물상을 운영하는 박모씨는 “대부분 건설현장 등에서 대규모로 고물이 들어와 취급 물품이 맞는지 한눈에 파악이 된다”면서도 “1톤 차량 등을 통해 길바닥의 고철 등을 갖고 오는 분들이 하루에 20~30명 정도가 있는데, 흩어진 걸 주워오다 보니 정체불명의 것들이 섞여 들어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폐전자제품 수거업체 ‘E-순환거버넌스’와 업무협약을 맺고, 소형 폐가전제품을 개수와 무관하게 무상 수거할 수 있는 정책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