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생한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사고를 계기로, 광명시와 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화성시 등 5개 지자체가 한 목소리로 공동 대응 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박승원 광명시장과 임병택 시흥시장, 이민근 안산시장, 최대호 안양시장, 정명근 화성시장은 15일 광명시청 대회의실에서 ‘신안산선 경기도 경유 5개 지방자치단체장 간담회’를 갖고 신안산선 안전 시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신안산선이 지나는 이들 지자체는 공동 대응 건의문을 작성해 공사 기관과 업체인 국토교통부·국가철도공단·시공사·시행사에 전달했다.
간담회에서 박승원 광명시장은 “최근 발생한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사고는 인명피해와 인근 10여가구가 거주지를 떠나 생활하고 있으며, 상인들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등 지역사회 혼란을 가져왔다”며 “이 사고를 계기로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주요 단계에 참여할 수 있는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건의문은 각 지자체의 제안을 모아 ▲주요 공정에 시민과 전문가 참여 정례화 ▲지자체의 건설공사 현장 점검·사고조사위원회 참여 ▲사고 현장의 조속한 복구와 정부 특별관리·지원 ▲지자체와 시행사 간 실무협의회 정례화 ▲ 전체 구간 정밀안전진단 등이 담겼다.
불투명한 정보는 사업 신뢰도를 하락시키고 전문가나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없는 현행 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자체가 현장점검에 참여할 수 있도록 ‘건설기술 진흥법’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건의했다. 현재로선 지자체가 발주하거나 허가를 한 건설공사가 아니면 관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사고는 시민의 생명과 일상에 직결된 중대한 사안으로, 더 이상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제도 개선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며 “건의 사항이 반영돼 신안산선이 안전하게 완공되고, 국가와 지방정부가 협력한 체계적인 안전관리 제도 구축의 토대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임병택 시흥시장도 “목감역과 매화역 등 시흥시 구간에 대해 자체 안전점검을 했으나, 사회적 불안 해소를 위해 국토부가 나서 정밀안전진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안산선 전체 공정률은 약 55%로 2026년 12월 개통이었으나 이번 붕괴 사고로 추가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