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주요 키워드 ‘정부 권한 축소’

부산 공약 市 영향… ‘역차별’ 충돌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약의 주요 키워드는 ‘중앙정부 권한 축소’와 ‘수도권 일극 체제 탈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보별 10대 공약 또는 후보들이 전국 유세 현장에서 언급하는 공약을 살펴보면, 인천 등 수도권에 불리한 내용이 다수 보인다.

특히 ‘부산 공약’이 인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인천과 부산은 국내 대표 해양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경쟁한다. 인구와 경제성장 등 각종 지표에서 ‘제2의 도시’ 자리를 두고도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도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일찌감치 ‘해양수도 부산’ 조성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지난 14일 부산을 찾아 ▲해양수산부 및 관련 공공기관 단계적 부산 이전 ▲부산해사법원 신설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해운회사 부산 유치 등 공약을 재차 발표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지난 13일 부산 유세 현장에서 한국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해 ‘글로벌 허브도시’를 조성하겠다고 선언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지난 14일 부산에 본점을 두는 해외 증권사에 적극적 세제 혜택을 주는 특별법을 통해 부산을 금융특구로 키우겠다고 공약했다.

주요 대선 후보들이 내건 부산 공약은 해양·항만 물류도시를 지향하고 ‘금융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삼은 인천 도시 개발 비전과 정면으로 부딪힌다. 또 인천은 극지연구소를 두고 있어 산학연 공동 연구를 통해 북극항로 개척을 이미 추진 중이고, 인천해사법원 설치는 지역 숙원사업이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인천시당은 인천 공약에 담을 내용을 중앙당에 전달했지만,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아직 ‘인천 공약’을 확정짓지 못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