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의향은 늘었지만 둘째 출산은 여전히 먼 선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인일보DB
결혼 의향은 늘었지만 둘째 출산은 여전히 먼 선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인일보DB

“아이를 보면 너무 사랑스럽고 형제가 있었으면 하는 마음도 있어요. 그런데 주택 대출 이자, 교육비, 시간적인 여유를 생각하면 둘째까지 감당할 자신이 없죠.”

화성시에 사는 조모(33)씨는 2년 전 첫 아이를 낳고 전업으로 육아 중이다. 둘째 출산도 진지하게 고려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현실적 부담이 앞섰다.

조씨처럼 맞벌이 가정이 아님에도 둘째 출산을 주저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반대로 맞벌이 부부의 경우 첫째 출산 후 육아휴직은 감수하더라도 둘째까지 이어지는 휴직은 커리어 공백에 대한 부담이 크다. 반복된 휴직이 퇴직이나 경력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결혼을 원하는 분위기는 회복되고 있지만 다자녀 출산은 여전히 부담스러운 선택이라는 점은 통계로도 나타난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9세 이상 49세 이하 가임기 여성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있는 미혼자 비율은 62.2%로 3년 전보다 11.4%포인트 증가하는 등 결혼을 기피하는 분위기와는 거리가 있었다.

하지만 결혼을 원하는 사람이 늘었다고 해서 자녀 계획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지는 않았다.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5명이었으며 결혼 당시 계획한 자녀 수는 1.75명,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의 평균 자녀 계획 수는 1.25명에 그쳤다. 자녀 수는 대부분 1명 안팎에 머무는 흐름을 보였다.

자녀를 1명만 계획한 비율은 22.3%,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6.1%에 달했다. 이는 출산이 가치관보다 경제적 여건과 돌봄 부담 등 현실적 조건에 좌우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 출산 결정 요인으로 ‘경제적 여건’을 꼽은 비율은 56.4%로 가장 높았다.

이런 상황 속에 경기도 내 지자체들은 임신 준비 단계까지 비용 지원을 확대하고 나섰다. 수원시는 냉동난자 시술비를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고, 안산시 등도 난자 동결 시술비와 생식세포 보존비를 보조한다.

전문가들은 결혼 의향 상승은 긍정적이지만 한국이 여전히 OECD 최하위권 출생률을 기록 중인 만큼 반등으로 이어지긴 쉽지 않다고 본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 교수(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간위원)는 “결혼과 첫 출산은 회복 조짐이 있지만 둘째 이상 출산으로 이어지려면 삶의 여건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둘째는 단순히 자녀 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아니라 두 배의 부담으로 체감되는 만큼 실질적인 인센티브와 여건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