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야간·휴일 진료 개선 대책’ 수립

중증도 기반 진료체계 구축

경기도 소아 응급 및 야간·휴일 진료기관. /경기도 제공
경기도 소아 응급 및 야간·휴일 진료기관.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전국 최다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을 운영하며 소아 응급 전담의료체계 구축에 나섰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경기도 소아 야간·휴일 진료 개선 대책’을 시행하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45개소의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을 운영한다.

도는 개선 대책을 통해 2021년 달빛어린이병원 5개소에 불과하던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을 현재 45개소(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 3개소, 달빛어린이병원 31개소,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진료기관 11개소)로 확대했다.

도는 소아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른 진료기관을 분류해 부족한 소아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환자의 병원 접근성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은 중증 소아응급환자에 대한 24시간 응급실 전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도는 분당차병원, 아주대병원,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을 지정했다. 책임의료기관 3개소는 경기 남·북부 권역을 나눠 소아응급환자를 담당한다.

달빛어린이병원 31개소는 평일 오후 11시, 주말 오후 6시까지 외래 진료를 진행해 응급실 과밀화와 소아 환자의 병원 이용부담을 줄여준다. 2021년 12만 건이었던 달빛어린이병원 야간·휴일 진료 건수는 2024년 105만 건으로 8.6배 증가했으며, 운영기관 수는 5개소에서 31개소로 6.2배 증가했다.

아울러 도는 인력 채용 등의 문제로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시간을 충족하기 어려운 의료기관에 대해 운영비를 지원하는 ‘경기도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 제도’도 운영한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소아 진료 공백 해소를 위해 개선 대책을 수립하고 진료기관 확대를 추진했다”며 “기관 수 확대에 그치지 않고 중증도에 따라 적절히 진료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