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경관 훼손” vs “정전 예방 필수”
市 ‘푸른 도시 사업’ 정책과 충돌
한전 “승인 후 기준 준수해 작업”
‘평택형 협의 모델’ 여론 힘 얻어

‘도시경관(환경) 먼저’ VS ‘정전예방 우선’.
평택시와 한국전력공사 평택지사(이하 한전)가 전선 주변의 시 소유 가로수 전정(식물의 겉모양을 고르게 하기 위해 곁가지를 자르고 다듬는 일) 작업과 관련해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평택시는 “한전의 가로수 전정 작업이 시 중요 정책으로 추진 중인 ‘푸른 도시 사업’에 역행하고 있어 기준 위반 시 대응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한전 측은 “이는 사실이 아니다. 정전 예방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관련된 기준 마련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시와 한전 측에 따르면 시는 한전 측이 시 소유의 가로수에 대한 전정 작업을 하면서 시와의 협의가 원활치 않고 작업 대상 수목의 선정 이유나 범위에 대한 설명도 미흡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작업 전·중·후 사진 제출도 원활치 않거나, 일부 수목은 수형(종류나 환경에 따른 특징을 지닌 나무의 모양 등)이 심하게 훼손될 정도로 잘려나간 것으로 파악됐다고 주장했다.
시는 이같은 행위가 ‘푸른 도시 조성’이라는 시 중요 정책의 핵심 가치와 충돌한다고 판단, 한전 측에 향후 작업 기준을 준수치 않으면 재작업 명령과 변상금을 부과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한전 측은 “수목 전정 시행 구간에 대해 평택시의 승인을 득한 후 관련 기준을 준수해 작업을 진행해 왔다”며“일방적 또는 협의 없이 작업을 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전선에 수목이 닿으면 정전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전선 접촉 수목을 대상으로 전정 작업을 시행해 왔다. 우리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조경전문회사가 참여해 정전 예방 이격거리 확보, 수목 수형 보전을 고려해 작업을 한다. 시 관계부서와 업무 협의를 통해 전정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조경 및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단순히 전정 작업 방식만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양 기관이 공동 기준 마련, 시민 의견을 반영하는 ‘전정 협의체’ 구성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실제 인근 지자체는 한전과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가로수 정원사’ 봉사단을 운영해 최소한의 전정 작업만 허용하고 작업 전 협의 절차를 제도화해 도시 경관과 정전 예방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선 시와 한전 측이 전력 안정성과 도시 생태, 아름다운 도시 경관을 지켜볼 시민의 권리를 지켜내기 위한 ‘평택형 협의 모델’ 구축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