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서 인천시에 내용 통보

인천시가 추진하는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프로젝트가 막바지 단계에서 북한 반대로 멈춰섰다.
인천시는 “시가 제출한 세계지질공원 신청서에 대해 지난 19일 북한이 이의신청을 제기했음을 유네스코가 통보해 왔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에서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건 제주도(2010년), 청송(2017년), 무등산권(2018년), 한탄강(2020년), 전북 서해안(2023년), 단양(2025년), 경북 동해안(2025년) 등 7곳이 있지만 지정 과정에서 북한이 반대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시는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해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관련 규정에 따라 지난 2월부터 회원국의 공람이 진행됐다. 이의신청 기간(3개월)이 끝나기 직전 북한이 이의신청 서류를 유네스코에 제출하면서 지정 절차가 중단됐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운영 지침은 회원국 이의신청이 있을 때 ‘과학적 평가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관련 당사국이 해결하도록 규정돼 있다고 인천시는 설명했다.
이 지침에 따라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유네스코 현장실사 등이 모두 중단됐다. 인천시는 해외 다른 나라 유사 사례를 파악하고 있다.
북한의 이의신청 사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천시는 북방한계선(NLL) 이남 서해5도 일대에 대한 북한의 영토 분쟁 시도가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2일 오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해상 NLL에 대한 북한의 무력화 시도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