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이 추진된 백령도의 남포리습곡이다. /경인일보DB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이 추진된 백령도의 남포리습곡이다. /경인일보DB

백령도 등 서해 접경지역을 끼고 있는 인천 옹진군이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에 반대 의견을 낸 북한에 유감을 표했다.

문경복 옹진군수는 23일 입장문을 통해 “북한의 이의신청은 매우 실망스러운 조치”라고 했다.

문 군수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등재를 통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남북 협력의 중요한 상징이 될 수 있는 지역”이라며 “평화 정착과 번영의 소중한 기회가 북한의 이의신청으로 중단된다는 것이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했다.

문 군수는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백령·대청 주민들과 인천시, 외교부 등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북한이 이의신청를 철회하고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등재절차가 원할히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인천시는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신청에 대해 지난 19일 북한이 이의신청을 했다는 내용을 22일 유네스코로부터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운영 지침에 따르면 회원국 이의신청이 있을 때 당사국이 해결하도록 규정돼 있다. 지침에 따라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유네스코 현장실사 등은 모두 중단됐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