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택배차량들이 주차되어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우체국택배차량들이 주차되어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적정 물량 보장 등을 요구하며 우체국 상대로 단체협상을 진행 중(3월 25일자 7면 보도=“물량 적은데, 수수료마저 동결”… 우체국 택배노동자, 인상 촉구)인 우체국 택배노동자(위탁 배달원)들이 사용자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파업까지 불사하고 나섰다.

“물량 적은데, 수수료마저 동결”… 우체국 택배노동자, 인상 촉구

“물량 적은데, 수수료마저 동결”… 우체국 택배노동자, 인상 촉구

개 지역 우정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기관인 우체국이 예산절감이라는 효율성만을 내세우며 수수료 동결을 강요하고 있다”며 “실질적 소득감소로 인해 ‘투잡’, ‘스리잡’을 뛰며 생계를 위협받고 있는데 우체국이 이를 외면하지 말아달라”고 목소리를 높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3599

23일 전국택배노조 우체국본부(이하 노조)는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 신청을 했다. 합법적 파업권인 쟁의권을 얻기 위한 절차에 나선 것으로, 일정 기간 조정으로 중재가 이뤄지지 않으면 조합원 투표 등을 거쳐 쟁의행위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사용자인 우체국물류지원단과 지난달 초부터 진행 중인 단협에서 택배 적정 물량 보장과 수수료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큰 이견을 보이고 있다. 노조는 단협에 하루 175~195개 택배 물량을 ‘보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다 구체적 문구로 수정할 것을 요구 중이다.

노조 관계자는 “문구가 모호하다 보니 우정사업본부와 물류지원단이 단협상 최저 물량인 175개를 평균치로 설정해 전국 900여명의 배달원은 최저 물량도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수수료 인상 부분도 물가 상승분에 맞춰 요구하고 있는데 ‘고중량 소포’에만 일정 부분 인상을 해준다고 해 좀처럼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가 적정 물량 보장 등 관련 요구를 강하게 하는 건 업체간 과당경쟁 여파로 배달 현장의 물량 감축 우려가 그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의정부에서 우체국 위탁배달원으로 일하는 이모씨는 “물가도 오르고 기름값도 계속 오르는데 수수료는 크게 변하지 않아 실제 손에 쥐는 돈은 눈에 띄게 줄었다”며 “쿠팡 등 다른 업체들과 경쟁으로 이미 우체국 선호도가 낮아졌는데, 앞으로 배정 물량이 더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까봐 더 걱정된다”고 말했다.

우체국물류지원단 측은 이번 단협과 관련 “소포 물량이 계속 감소하는 상황에서 노조에서 주장하는 수수료 인상 폭은 예산을 고려했을 때 쉽지 않은 면이 있다”면서 “적정 물량과 관련한 사안은 상대적으로 입장차이가 좁혀졌다고 보고 있는데, 조정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노조 쪽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조는 오는 26일 경인지방우정청을 포함 전국 지방청에서 적정 물량 보장 등을 요구하는 ‘총력투쟁 선포 결의대회’를 일제히 열고 사측을 규탄할 예정이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