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과 탄핵 이후 치러지는 대선이니까 당연히 더불어민주당을 찍어야지요.”
‘이번 대선에서 누구를 뽑을 거냐’는 질문에 25일 광주시 남구 봉선동 토박이인 김형용(45)씨는 “전략적 선택을 하는 봉선동도 지난 대선과의 분위기는 다르다”면서 “표심은 일방적으로 기운 것 같다”고 말했다.
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남은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의 압승이 당연시되는 분위기다.
20대 대선 당시 광주에서 유일하게 국민의힘에게 20%대의 표를 줬던 ‘광주의 강남’으로 불리는 남구 봉선동 주민들의 분위기도 예전과 같지 않다.
제21대 대선을 10일 앞둔 광주·전남에서는 ‘12·3 내란’ 사태에 대한 심판론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두둔하고, 극우 보수단체 등과 함께 윤석열 탄핵을 반대해 오며 그동안 국민 갈등을 일으켜 온 국민의힘에 대한 ‘반감’이 그 어느 때보다 큰 분위기다.
과거 전두환 정권의 계엄으로 1980년 5·18 당시 수 많은 시민들이 피를 흘리고 죽임을 당했던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윤석열의 ‘12·3 비상계엄’이 또 한번 ‘계엄 트라우마’를 소환해서다.
목포에서 만난 최영준(68)씨는 “지난 대선 결과도 그랬지만, 호남이라고 맹목적으로 민주당만 지지하는 시대는 지났지만, 올해만큼은 다르다”면서 “광주와 전남은 5·18이라는 계엄 트라우마를 가진 지역이어서 이번 선거만큼은 ‘내란’에 대한 강한 유권자들의 심판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에서 광주·전남지역 득표율을 90% 이상 목표로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과거 김대중(94.61%), 노무현(93.38%) 전 대통령의 득표율을 넘어서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도 나온다. 이를 위해 민주당 광주시당과 전남도당, 민주당 소속 지방의원들은 선거전까지 투표율과 득표율 높이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역 선대위를 꾸리고 선거운동에 나섰지만, 지난 대선과 비교해 동력이 떨어진 것 같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30’을 중심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던 것과 달리, 이미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광주·전남에서 김문수 후보의 대선 공약 및 선거 전략이 지역민들을 설득시키기엔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다.
다만, 문제는 사전투표와 선거 당일 광주·전남지역 유권자들의 발길이 투표소로 이어질 것인지 여부다. 민주당이 압도적 승리를 목표로 90%대 투표율을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는 유권자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광주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김영동(54)씨는 “그동안 민주당을 그렇게 밀어줘도 선거만 끝나면 여전히 호남은 예산과 현안 사업 등에서 소외되고 있다”면서 “호남에서의 민주당 ‘일당 독점’이 지역 정치와 경제를 망치는 것 아니냐는 여론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광주일보=정병호·김민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