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민대학 교수이기도 한 김 원장은 60~70년대 기지촌 여성들에 대한 인권과 이들이 현재 겪고있는 생활고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음은 김 원장과의 일문일답.
-기지촌 할머니들에 대한 문제점은 뭔가.
"우선 기지촌 할머니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가 없다는 점이다. 정확한 실태 파악도 안돼 있는데다 남아있는 할머니들에 대한 실태조사와 지원이 아쉽다.
이들은 아무런 산업기반이 없던 60~70년대 생활고로 기지촌으로 흘러들어왔으며 한때는 정부의 관리하에 있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아무런 인권적 배려를 받지못한 것이 사실이다. 늦은 감은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각종 재활프로그램과 쉼터 정책 등이 필요하다."
-경기북부지역 기지촌 여성문제는 뭔가.
"경기북부의 여성정책 부서는 그동안 여성복지의 불모지라 할수 있는 이 지역에서 많은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미군부대가 많았던 경기북부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기지촌 여성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기지촌 여성들에 대한 여성복지 정책의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조손가정, 저소득 모부자 가정, 주한외국인여성 및 일본 위안부 여성 등으로 점차 정책적 수혜자가 크게 확대돼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심지어 여대생은 물론 성매매피해 여성과 외국인 근로자 자녀 및 소년소녀 가장까지 그 지원대상이 확대되고 있다. 이런 점에 비춰볼때 기지촌 여성, 특히 경기북부지역에서 홀로 남겨진 기지촌 할머니들에 대한 경기도 차원에서의 대책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