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김문수 경기지사 당선자의 핵심공약으로 불리는 수도권규제철폐와 뉴타운 건설 등을 추진하기 위한 해법찾기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들 공약은 중앙정부와 정치권의 법령개정, 비수도권의 반발, 수조원대의 재원조달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실행여부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8일 도와 경기지사직 인수위 관계자 등에 따르면 김 당선자는 선거공약으로 수도권 규제철폐와 뉴타운 건설 등을 핵심공약으로 제시했으며 인수위에서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규제철폐를 위해 인수위는 지난 15일 남경필 경기도지사직 인수위원장이 제타룡 서울시 공동인수위원장, 김창섭 인천발전연구원장 등과 회동을 갖고 수도권 규제완화를 위해 공동협력한다는 등 수도권 발전 공동합의문 실천을 약속했다.

 하지만 비수도권 13개 시·도지사가 최근 협의회 결성을 추진하는 등 조직적으로 반발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초반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더욱이 이들 비수도권 지역 국회의원들도 국가균형발전 정신에 어긋난다며 법개정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초대 민선지사 선거부터 여야 후보들이 공통공약으로 제시한 수도권규제철폐는 영구미제로 남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인수위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규제철폐 결정권이 중앙정부와 국회 소관이어서 실현여부는 미지수이다.

 부천소사와 성남태평 등지의 구도심 뉴타운개발과 산업단지주변의 기업형 뉴타운 조성사업도 수조원대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예산 확보가 쉽지않아 효과적인 추진이 어렵다는 분석이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와관련 인수위 관계자는 “지난 14일 뉴타운조성을 위한 비공개 토론회에서도 최대 난관인 재정확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대안을 이끌어 내지 못했다”면서 “수조원대의 보상금과 기반시설부담금 등을 어떻게 해결할지는 영원한 고민거리가 될 수도 있다”고 회의적인 입장이다.
 도 관계자도 “규제완화는 수도권 공동이익과 직결되나 균형발전론을 앞세운 비수도권의 반발을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관건”이라면서 “뉴타운 건설도 재원확보라는 난제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