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반도체 화성공장 13만5천㎡ 증설 허용을 골자로한 공장 부지 변경안이 신청된 후 곧바로 수도권정비위원회 실무위를 통과하는 등 이명박 정부의 스피드 행정이 현실화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또 공장 증설 허용은 국제 반도체 값 상승세와 맞물려 삼성전자의 주가에 호재로 작용하고 인근 아파트와 상가 분양가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14일 경기도와 삼성전자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 화성공장 13만5천㎡의 증설을 위한 '삼성전자 공장용지 조성사업'건이 지난 3월 중순 신청돼 지난 7일 수도권정비위원회 실무위를 거쳐 오는 20일께 심의될 전망이다.

이는 통상 심의절차만 3개월여 걸리던 처리기간이 대폭 단축된 것으로 현 정부의 스피드 행정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에따라 다음달 초부터 공장 건축허가 등 행정 절차를 밟는 등 공장부지 조성 사업에 착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제 반도체 값 상승세와 맞물려 삼성전자의 주가에 큰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삼성특검 등의 악재로 연초 50만원대 초반에 머물던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 3월부터 반등세를 보이다가 이달 11일 연중 최고치인 68만원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다.

공장 증설의 여파는 또 인근의 동탄신도시와 신영통 등 인근 아파트 값과 상권 분양가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화성공장 반도체 공장 증설시 신규 채용될 인력이 4천여명과 부양가족 등 추가 유입인구가 1만2천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인근 아파트의 전·월세 물량은 물론 아파트 값 상승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삼성반도체 관계자는 " 지난 3월 중순 공장 증설 용지 변경을 신청했던 것이 최근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를 전격 통과한 것"이라며 "반도체 공장의 개발계획기간이나 시점 등은 (주식이나 반도체 값)시황에 따라 조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