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사업비 80조원 규모의 용유·무의 관광단지는 올해 하반기 사업시행자 선정을 위한 국제공모가 실시된다.

안상수 인천시장(사진)은 4일 라마다송도 호텔에서 열린 '지역건설산업활성화를 위한 대형 건설사 CEO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관련기사 3면>관련기사>
안 시장은 "송도와 서울을 바로 연결하는 지하(고속)철을 구상하고 있다"며 이날 참석한 건설업체 최고 경영진들에게 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대한교통학회는 지하 40~50에 건설하는 고속급행철도 노선으로 고양 킨텍스~동탄신도시(77.6㎞), 의정부~군포 금정(49.3㎞), 송도~청량리(50.3㎞) 등 3개 노선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 중이다.
연구진은 2016년 완공을 목표로 이들 3개 노선을 건설하는데 총 15조4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 서울과 인천, 경기도가 '태스크 포스'팀으로 참가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4~5월 중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는 교통학회의 이번 연구결과를 정책에 반영할지 여부를 추가 검토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인천시 관계자는 "한 민간사업자가 송도~청량리 구간의 고속철도 건설을 이미 제안한 상태"라며 "연구결과가 나오면 태스크 포스팀에서 국토해양부와 본격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 시장은 또 "용유·무의 관광단지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된다"며 "모두 7~8개로 구역을 쪼개 하반기 국제공모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용유·무의 관광단지는 중구 용유·무의도 일대 21.65㎢에 2020년까지 총 80조원을 투입, 문화·관광·레저복합단지를 조성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개발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지역 주민들과 캠핀스키 컨소시엄, 인천도시개발공사 등이 참여하는 사업관리회사(PMC:Project Management Company)를 꾸려 이 사업을 추진 중이다.
PMC는 보상과 이주대책, 개발계획 등을 논의하는 등 특수목적회사(SPC) 설립을 위한 과도기 단계의 회사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