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평택/이한중·김종호기자]평택항계내에 건설 예정인 아산만 조력발전사업(경인일보 5월 18일자 20면 보도)에 대한 평택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느슨한 입장이었던 평택시가 '강경 대응'쪽으로 선회, 향후 대응 방식이 주목된다.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주요 시책 추진 설명회에서 김선기 시장은 "바다를 막아 조력댐을 건설할 경우 평택호에서 흘러나가는 물 길을 가로 막을뿐 아니라 해양생태계마저 파괴될 수 있다"고 깊이 우려했다.

김 시장은 "이럴 경우 집중 호우시 평택호 지천인 진위천, 안성천 주변은 물론 시내까지 침수될 수 있고, 안성시까지 재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물길을 막아 조력댐을 건설하려는 계획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경기도와 함께 조력댐 건설 계획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겠다"며 "조력댐 건설이 평택에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용역, 평택항 경쟁력에 어떤 작용을 하게될지 등을 분석, 시민들에게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평택항계내 바다를 가로막아 조력댐을 건설하려는 계획은 평택항의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침수 피해가 예상되며 항만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뿐"이라며 "평택시는 이같은 계획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시민들이 조력댐 건설에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충남 당진군 지역에서도 해당 주민들이 반대투쟁위를 꾸려 반대에 나서는 등 조력댐 건설이 평택, 당진 양 지역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아산만 조력발전소 반대투쟁위는 지난 9일 평택지방해양항만청을 방문, 항의했고 11일 당진군청을 찾아가 "갯벌이 사라질 수 있고, 많은 어민들이 쫓겨날 수 있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