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방행정체제 개편 추진에 따라 그동안 각 지역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어 왔던 시·군·구 행정구역 통합 작업이 재점화되고 있다. 올해 말까지로 예정된 통합건의 시한을 앞두고, 일부 지역에서는 민간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돼 통합 건의를 위한 주민 서명작업에도 돌입했다. 하지만 지역별 엇갈린 이해관계로 인해 곳곳에서 마찰의 불씨가 피어오르면서, 향후 심각한 후유증 우려도 높다. 통합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경기도내 지역들의 현주소와 통합실현 전망과 과제를 긴급진단한다. ┃편집자 주

정부의 지방행정체제 개편 작업에 맞춰 시·군·구 통합이 추진되고 있는 경기도내 지역은 5곳 정도가 꼽히고 있다. 이미 한차례 통합논의로 주목을 받았던 성남·광주·하남, 최근들어 통합논의에 불이 붙은 수원·화성·오산, 경기북부지역의 의정부·양주·동두천, 구리·남양주, 그리고 안양·군포·의왕 등지다. 이들 지역은 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올해 말까지 제출토록 돼 있는 '통합 건의' 등의 절차를 밟기 위한 준비에 속속 돌입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대통령 직속으로 '지방행정체제 개편 추진위원회'를 구성한데 이어, 지난 9월8일에는 '시·군·구 통합기준'을 작성·공표함으로써 지자체들의 통합논의에 불을 지폈다.

개편추진위는 올해 말까지 통합 추진지역의 지자체, 지방의회, 주민들로부터 통합건의를 받아, 내년 6월에 통합 기본계획을 수립해 대통령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 통합 기본계획에는 우선적으로 통합을 추진할 지역이 선별될 전망이다.

이후 행안부장관이 통합 추진 대상 지자체에 통합을 권고하면, 2013년 7월께에는 해당지역에서 주민투표나 지방의회 통합의결을 통해 통합여부가 결정된다. 통합이 가결되면 해당 지자체가 공동으로 '통합추진공동위원회'를 설치해 통합 과정을 진행한 후, 2014년 7월께 통합 자치단체를 출범시키게 된다.

이같은 로드맵에 따라 그동안 통합을 위한 물밑작업을 해 왔던 각 지자체들이 본격 통합작업에 돌입했다.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수원·오산·화성의 경우, 수원시가 가장 적극적으로 행정구역 통합작업에 나서고 있다.

수원시는 지난해 염태영 시장이 3개시 통합을 핵심공약으로 내세우며 당선, 민선 5기 출범 초부터 통합을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해 왔다. 지난달 4일부터는 통합추진 TF팀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반면 오산시와 화성시는 통합에 대한 주민들의 찬·반이 엇갈리면서, 의견수렴과 결정 방법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18일에는 화성·오산·수원 3개시 통합을 위한 '화성·오산·수원 시민 통합추진위원회'가 발기인대회를 열고 공식 출범해 주목을 받았다. 시민통합추진위원회는 1일부터 통합건의를 위한 주민 서명작업에 돌입했다.

/박상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