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 참여 여부를 놓고 '장고'에 들어간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고민이 점점 더 깊어지고 있다. 7월 들어 대권 일정까지 비공개하며 '숙고의 시간을 갖겠다'고 했지만 좀처럼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애초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로의 룰 변경 없이는 경선에 참여할 수 없다고 주장해온 만큼, 경선에 참여할 경우 말 바꾸는 이미지를 벗기 어렵게 되고, 참여하지 않을 경우엔 자칫 '투정쟁이'로 비쳐질 수 있기 때문에 말그대로 진퇴양난인 상황이다. 경선룰 논란 과정에서 당 지도부와 친박측이 자신에게 어떤 명분(룰 개정)도 실어주지 않았다는 점에 더 큰 인간적 '모멸감'까지 느꼈다는 후문이다.

친박계에서는 이번 경선에 들어와 흥행을 통해 분위기를 끌어올리고 '차차기'를 도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김 지사는 박 전 위원장에 맞서 경쟁하는 것이 마치 '반역'이라도 한듯 괄시하는 '대세추종'의 당 분위기에서 자신이 설 수 있는 공간이 적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실적인 문제도 김 지사의 발목을 잡고 있다. 재산신고 금액이 4억원에 불과한 김 지사가 경선준비 경비로 1억원을 대출받은데다 향후 2억5천만원에 달하는 대선후보 기탁금을 내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게 현실적인 고민거리다. 경선에는 최소 5억~10억원 이상의 경비가 소요되는 만큼 그의 재력으론 버티기 쉽지 않다는 얘기다.

인간적인 고뇌도 깊다. 과거 민주화 운동을 하며 '동지관계'였던 이재오 의원, 서울대 동기인 정몽준 전 대표와 함께 그동안 경선룰 개정을 요구하며 한 목소리를 내왔는데 경선에 참여할 경우 인간적 관계를 헌신짝 처럼 버려야 한다는 부담도 뒤따를 수 있다.

이에대해 일부 호사가들은 "김 지사가 꿈을 버리기 어렵겠지만 '계란으로 바위치기'를 하는 것보다 이번에 깨끗하게 (대권)접고, 여당의 정권재창출에 역할을 하겠다며 도청으로 회군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