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정당의 '작지만 강한' 후보들이 '야권연대'를 주장하며 7·30 재보선 경기지역 선거에 출사표를 던져 선거의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단일 보수후보 대 다수의 진보후보가 격돌하는 양상이어서, 소수정당이 요구하는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야권의 표 분산 현상이 나타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특히 수원의 경우 3개 선거구 모두 통합진보당과 정의당이 각각 후보를 내, 야권내의 표심잡기 경쟁부터가 선거의 시작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9일 경기도의회에서 수원정 국회의원 선거 출마 기자회견을 가진 천호선 정의당 대표는 시작부터 야권연대를 강조했다.

천 대표는 "수원정만 해도 이명박 정부에서 비서실장을 역임한 'MB맨'이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다. MB정부가 영통에서 부활해서는 안 되는것 아닌가. 그런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전략적인 판단으로 야권연대를 제안해 왔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야권의 혁신과 재보선 승리를 위한 것"이라며 당 차원의 야권연대를 제안하기도 했다.

천 대표를 포함해 이정미 부대표 겸 대변인과 박석종 전 교육부총리 비서관도 각각 수원병과 수원을에 출사표를 던졌다. 김성현 경기도당 위원장은 김포에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이에 당 차원에서 이들 후보의 경쟁력을 토대로 새정치민주연합과 '딜'을 할 가능성도 높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후보 등록일을 코앞에 두고도 공천 갈등을 거듭, 지역내 반발을 사고 있는 점 등도 이들의 야권연대론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가 됐다.

이날 통합진보당도 수원정에 김식 전 수원시의원 후보를 공천키로 했다. 이에 통진당도 수원 3개 재보선 선거구 모두에 후보자를 냈다.

안동섭 사무총장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당내 의견이 다수였지만, 안 총장이 "수원갑 지역에서 활동해 왔던 만큼 지역주민들에 대한 도리가 아닌 것 같다"며 출마를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성·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