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연합뉴스 |
러시아 서베링해에서 조업 중 침몰한 사조산업 '501 오룡호' 실종 선원 가족들은 "배가 기울기 시작하고 나서 완전히 침몰할 때까지 4시간 이상 여유가 있었는데 선사에서 퇴선 명령을 제때 하지 않고 선원구조 준비도 제대로 못 해 참변이 발생했다"고 2일 밝혔다.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실종 선원 가족들은 이날 오룡호 선사인 사조산업 임원들이 사고와 수색·구조작업 상황을 브리핑 한 자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선원 가족들은 "선사에서는 퇴선 명령을 선장 몫으로만 돌리는데 위기 상황에서는 본사에서 퇴선 명령을 해줘야 한다. 배에 이상이 생겼으면 구조 작업이 가능한 한 큰 선박을 이동시켜 우선적으로 선원을 구조하는데 전력을 기울였어야 했는데 조치가 늦어졌다"고 지적했다.
501 오룡호가 노후화해 사고가 난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왔다.
한 선원 가족은 "지은 지 40년 가까이 돼 쓰지도 못하는 배를 외국에서 사와 수리도 제대로 하지 않고 조업시킨 게 문제"라며 "사고 전 통화에서 할당받은 어획량을 다 잡았는데 선사에서 추가 조업지시를 했다고 들었다. 추가 조업 지시 때문에 노후선박이 악천후에 조업에 나섰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고 항의했다.
선원 가족들은 구조·수색 작업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가족들은 "밤샘 수색·구조작업을 했다는 것도 못 믿겠다. 신발 한 짝이라도 건져야지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구명장비가 제대로 작동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나왔다.
한 선원 가족은 "구명 뗏목이 한 개만 작동한 거 아닌가. 시간적 여유가 있었는데 다른 선원들은 구명 뗏목을 못 탔을 이유가 없다. 제대로 점검도 안 하고 출항한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김정수 사조산업 사장은 "실종된 선원 가족들과 국민에게 죄송하다. 드릴 말씀이 없다.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실종 선원 수색·구조에 온 힘을 다하겠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 |
▲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주 인근 서베링해에서 선원 등 60명을 태운 1천753t급 명태잡이 트롤선인 '오룡501호'가 침몰한 지 하루가 지난 2일 오전 사고대책본부가 마련된 사조산업 부산지사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밤새 진행된 수색상황 브리핑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
사조산업 측은 501오룡호가 애초 어획량을 다 채웠는데도 선사의 추가 조업지시로 무리하게 조업하다가 사고가 난 것 아니냐는 실종 선원 가족들의 주장에 대해 "관련 서류와 기록을 검토해보고 답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조산업의 1천753t급 명태잡이 트롤선인 '501 오룡호'(선장 김계환·46)는 1일 오후 2시20분께(한국시간)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주 인근 서베링해에서 조업 도중 침몰했다.
2일 아침 어느 정도 회복됐던 사고 해역 날씨는 다시 나빠져 사실상 수색·구조이 중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