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추석 차례상 비용은 20만1천190원으로 지난해보다 약간(1.3%) 올랐다. 한국물가협회가 서울, 인천, 부산, 광주 등 전국 6대 도시의 전통시장 8곳에서 29개 제수용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다. 서민들의 반응은 무덤덤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개월 연속 0%대를 기록 중이어서 정부는 디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으나 서민들은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는 반응인 것이다. 지난달의 농축산물가격은 지난해 8월에 비해 평균 3.4% 인상되었다. 지난 겨울 구제역 등으로 사육두수가 감소하면서 돼지고기와 소고기 가격이 지난해보다 각각 7.5% 인상됐으며 채소류는 극심한 가뭄으로 양파 74.2%, 파 48.9%, 무 33.1%, 마늘 32.3% 등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냈다.
서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 상승은 또 다른 변수로 작용했다. 금년 벽두의 담뱃값 대폭인상에 이어 지하철, 시내버스, 학교급식비 등이 줄줄이 인상되면서 민생경제를 한층 위축시킨 것이다. 주거비의 오름세 지속은 또 다른 복병이었다. 지난달 기준 전국의 주택매매가는 전달 보다 0.27%나 올랐으며 전세가격과 월세가격도 각각 0.31%, 0.04% 상승했다. 저금리여파로 전세의 월세전환이 가속화되면서 7월의 전국 임대차거래 중 월세비중은 45.5%로 2011년 33.5%보다 무려 12%포인트나 커진 것이다. 공산품가격도 명절을 틈 타 오름세로 돌아섰다. 장바구니물가가 꾸준하게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소득감소는 설상가상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2분기 국민소득’에 따르면 2분기 실질국민소득(GNI)은 전(前)분기보다 0.1% 줄었다. 전분기 대비 국민소득이 마이너스를 시현한 것은 2010년 4분기(-1.9%) 이후 4년 반 만에 처음이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의 조사에 의하면 기혼가장의 18%이상이 돈이 없어 올 추석귀성을 포기했다고 답변했다. 지수와 달리 식탁물가만 고공행진하는 ‘불황형 저물가’가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추석이후가 더 걱정이다. 이달부터 4.4%나 오른 도시가스요금을 적용받는 터에 지자체들의 버스요금과 주민세, 쓰레기봉투값 등 줄인상이 예고되어 있다. 환경부의 빈병보증금 대폭확대로 최소한 10%이상의 술값 상승도 불가피한 실정이다. 장바구니물가에 각별히 신경써야 할 것이다.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 예사롭지 않다
입력 2015-09-13 20:1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9-14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