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주도하는 세계수산대학 유치를 검토하고 있다. 2017년 승인을 목표로 정부에 유치 입장을 전달하고 시 차원의 전담팀을 구성할 계획이다. 시는 세계수산대학 유치에 따른 효과분석과 지역발전유무 등을 검토해 지원대책 마련을 위해 전담팀 구성과 설립요건 및 지원조건 등을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세계수산대학이 유치되면 해양교류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각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성사가 주목된다.

인천시는 오는 2016년 개최할 예정인 ‘제21회 바다의 날’ 기념식 행사를 인천에서 유치하겠다고 신청했다. ‘바다의 날’ 행사는 정부가 지자체와 함께 바다와 해양수산업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매년 5월에 개최하고 있는 해양문화축제다. 바다의 날 20주년을 맞는 올해 행사는 부산에서 개최되었는데, 인천시는 행사 유치신청도 하지 않아, 이를 두고 인천시의 홀대와 무관심을 단적으로 보여준 처사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았다.

인천시는 해양도시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서해안 최대 항구인 인천항과 강화·옹진 등에 분포돼 있는 168개 섬과 해변, 서해와 한강을 이어주는 아라뱃길과 정서진 등 다양한 해양관광자원이 있지만 이를 제대로 연구하거나 대표할 만한 인프라가 없다. 비슷한 여건인 부산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확연하다. 부산은 해양대학과 국립해양박물관과 해양자연사박물관 등 해양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다른 도시도 마찬가지다. 목포의 경우 해양대학을 비롯한 국립해양문화재 연구소, 해양자연사 박물관, 해양문화연구소, 해양문화관광축제와 같은 인프라와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서천군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을, 울진군은 국립해양과학교육관을, 여수시는 해양수산과학관과 아쿠아플라넷을 개관하거나 개관을 앞두고 있다.

인천이 해양인프라 낙후도시가 된 데에는 해양도시 비전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해양도시 발전전략의 밑그림이 없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해양항만관련 정책은 해수부나 인천항만공사(IPA)의 소관으로 미뤄 둔 채 당면 현안에 매달려 온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인천시는 해양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해양개발과 관광을 통해 도시의 미래를 개척하기 위한 종합 청사진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