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문재인 대표의 거취와 혁신안을 둘러싼 주류와 비주류간 갈등이 좀처럼 수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당 중앙위에서 혁신안이 박수로 통과됐으나 무기명 투표를 주장했던 비주류는 절차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당무위원회와 의원총회의 연석회의에서 정치적 재신임이 받아들여졌으나 당의 내홍이 완전히 가라앉았다고 보기 어렵다.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낡은 진보 청산과 부패 척결, 새로운 인재의 영입 등 새로운 혁신안을 제시하고 이를 문재인 대표가 수용하는 모양새를 취함으로써 계파갈등이 수습될 접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 4·29 재보선 패배에 대한 책임론을 둘러 싸고 문재인 대표 등 친노를 중심으로 한 주류와 호남 세력을 중심으로 한 비주류와의 갈등이 불거진 이후 당이 혁신위를 구성했으나 혁신안이 나올 때마다 오히려 갈등은 증폭되어 왔다. 최고위원회 폐지와 대표위원회 구성, 국민공천단 구성 등의 혁신안이 지난주 중앙위에서 통과되었으나 비주류는 절차상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근본적인 불신을 가지고 있다. 대표위원회 구성이 오히려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시켜 당을 주류가 장악하려 한다는 의구심과 국민공천단 구성도 조직력이 뛰어난 주류에 유리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이미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신민당 창당을 선언했고 천정배 의원도 신당 창당을 발표했다. 현역 의원의 합류가 없는 상황에서 신당의 파괴력을 가늠할 수는 없으나 내년 총선에서 새정치연합의 공천을 받지 못한 호남출신 의원의 영입이 줄을 잇는다면 예상 외로 신당이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적으로 재신임을 받은 문 대표가 비주류를 얼마나 포용하고 절충과 타협의 정치력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야권의 앞날이 좌우될 것이다.
이미 국민들은 새정치연합의 혁신이나 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에 식상할 대로 식상해 있다. 이는 새누리당의 반 밖에 되지 않는 정당지지도가 증명하고 있다. 문재인 대표에 대한 정치적 재신임이 새정치연합의 내홍을 얼마나 진정시킬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그러나 총선과 대선에서 대안정당이 되려면 주류와 비주류가 타협하고 양보할 수밖에 없다. 우선 주류가 계파의 이익에 집착하는 퇴행적 모습을 버리는 실천을 보여주어야 한다.
새정치 연합 주류의 기득권부터 버려라
입력 2015-09-21 19:4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9-22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