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불신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회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10%를 넘은 적이 없고, 당리당략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정치권을 지켜보며 난감한 적도 한 두 번이 아니다. 국감이 한창 진행 중임에도 아랑곳없이 새누리당은 친박·비박으로, 새정치연합 역시 친노·비노로 대립하는 것을 보면 우리 정치권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개탄스럽다. 이 모두 20대 총선 공천권에 기인한 것임을 모르는 국민은 없다.

총선이 다가오면서 경기지역 정치인들의 행태도 점입가경이다. 지역간 갈등 발생시 정치권이 큰 틀의 해법 모색에 나서기 보다 민심을 분열시키거나 갈등을 부채질하는 ‘근본적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왕 법무타운 문제도 그렇다. 이는 의왕시장의 주민소환 준비절차가 진행되고 있을 정도로 이 지역의 대표적 현안이다. 문제의 핵심은 안양교도소를 의왕 왕곡동으로 이전하는 대신 의왕 내손동 예비군훈련장을 안양 박달동 훈련장으로 옮기는 것으로, 관련 지역 정치인마다 각각의 입장을 보여 오히려 지역이기주의를 부채질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사업에 용인 흥덕지구를 포함시키는 문제를 놓고도 수원·화성·안양·의왕과 용인지역의 여론이 크게 나뉘어져 있으나 지역 국회의원은 입장 조율은 외면한 채 지역 대변자로 전락했다. 화성 광역화장장 건설 문제도 지역 국회의원별로 입장이 상반되기는 마찬가지다. 심지어 화성갑은 여야 할 것 없이 찬성 입장을, 수원을 정치권은 모두 반대 입장을 보이다 보니 같은 당 정치인끼리 얼굴을 붉히는 웃지못할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수원 비행장 이전도 비행장을 이전해야 할 수원을 정치권과 비행장 이전을 막아야 할 화성 갑 을 정치권간 갈등은 마치 전쟁을 치르는 듯하다.

정치인들의 이런 행태는 모두 내년 총선을 의식해서다. 말은 지역발전 이슈 선점이라지만 표심을 얻기 위해 지역갈등을 의원들이 앞장 서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인이 가세하니 지역주민들의 저항은 더 거세지고, 지역발전을 막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더이상 지역주민을 볼모로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는 악습은 중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지금이야 말로 주민들의 냉철한 판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