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숲 교육이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 통제력을 높여주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체험한 법무부 보호관찰청소년 352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설문 조사결과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을 체험한 뒤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등 정서적으로 긍정적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참가자의 83%는 숲 체험 활동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갖게 됐고, 자아존중감도 5.6% 높아졌다.
특히 숲에서의 활동이 자기 통제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행동하기 전 생각하며 욕구를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장기적 만족추구)이 산림교육 이후 15.2% 높아졌고, 충동적이고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경향(즉각적 만족추구)은 9.2% 감소했다.

산림교육 이후 스트레스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심박변이도(심장 박동과 박동 사이의 간격 차이)를 활용한 스트레스 변화에서 참가자의 64.5%가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도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숲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정서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더 많은 청소년들이 산림교육을 통한 긍정적 변화로 사회복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보호관찰청소년 산림교육은 사회적 관심과 배려가 필요한 청소년들이 숲 교육을 통해 건전한 사회복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4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실시 중이다.
산림청은 지난해 법무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9개 보호관찰소청소년 582명에게 산림교육을 실시했으며, 올해는 작년에 비해 2배가 넘는 1천200명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수혜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심박변이도(심장 박동과 박동 사이의 간격 차이)를 활용한 스트레스 변화에서 참가자의 64.5%가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도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숲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정서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더 많은 청소년들이 산림교육을 통한 긍정적 변화로 사회복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보호관찰청소년 산림교육은 사회적 관심과 배려가 필요한 청소년들이 숲 교육을 통해 건전한 사회복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4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실시 중이다.
산림청은 지난해 법무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9개 보호관찰소청소년 582명에게 산림교육을 실시했으며, 올해는 작년에 비해 2배가 넘는 1천200명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수혜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대전/전병찬기자 bych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