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에서 새누리당을 떠나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유승민 의원은 한때 '원조 친박(친박근혜)'으로 불렸다.
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가 총선 후보 등록 전날인 23일에도 유 의원에 대한 공천 여부를 결정하지 않자 유 의원은 이날 밤 늦게 탈당을 선언했다.
당에 잔류해 '백의종군'하는 길도 있었지만, 정치적 재기를 모색하기 위해 탈당해 무소속으로 나서는 것이다.
유 의원은 당내 친박계로부터 불출마 압박을 받아 왔으며, 압박의 기저에는 유 의원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불편한 감정이 깔렸다는 게 중론이었다.
절체절명의 고비를 맞은 유 의원의 16년 정치 인생은 박 대통령과의 관계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다.
2000년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장으로 정계에 입문했던 그를 당시 당 대표이던 박 대통령이 대표 비서실장으로 발탁하면서 둘의 인연은 시작됐다.
유 의원이 비례대표 의원직을 내려놓고 2005년 보궐선거에서 현재의 지역구인 대구 동을로 출마해 당선될 때도 박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후문이다.
이후 유 의원은 2007년 대선 경선 때 박근혜 캠프의 정책메시지 단장을 맡는 등 박 대통령을 최측근에서 보좌했다.
박 대통령의 의원 시절 보좌진이던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등 청와대 비서관들을 유 의원이 "청와대 얼라('어린이'의 사투리 표현)들"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그러던 유 의원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당이 운영된 2011년을 전후해 박 대통령과 멀어지기 시작했다.
직언을 서슴지 않는 유 의원이 박 대통령의 행보를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한동안 '정치적 잠복기'를 거친 그는 지난해 원내대표로 화려하게 복귀했지만, 박 대통령과의 사이에 간 금은 멈추지 않고 오히려 벌어져만 갔다.
그는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전면 부정했다.
이를 두고 '아닌 것은 아니다'는 차원의 소신 발언이라는 해석과 집권 여당 원내대표로서 부적절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교차했다.
유 의원은 공무원연금 개혁 국면에선 행정입법에 대한 입법부 통제를 강화하는 야당의 국회법 개정안에 합의했다. 이는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이어졌다.
당시 박 대통령은 유 의원을 겨냥해 "배신의 정치"라고 언급했고, "경제 살리기에 어떤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유 의원은 결국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고 밝힌 헌법 1조의 가치를 "정치 생명을 걸고" 지키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발언이 자신에게 사퇴 압력을 가한 청와대를 '헌법 부정 세력'으로 규정했다는 해석을 낳았다. 박 대통령과는 돌이킬 수 없는 사이가 되고 만 셈이다.
유 의원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친박계 진영에선 이때부터 그를 '축출 대상'으로 삼았다고 한다.
결국 친박계인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당 정체성과 관련해 심하게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한 사람은 응분의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며 유 의원을 정면 겨냥했다.
원조 친박이던 유 의원이 당을 떠나게 된 데는 한번 눈 밖에 난 사람은 다시 신뢰하지 않는다는 박 대통령의 성품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상훈 의원은 전날 SBS 라디오에서 "왜 이런 과정까지 오게 됐는지 한 번 스스로 짚어봐야 하지 않겠나"라며 유 의원의 성품에도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비박(비박근혜)계의 아이콘'이 된 유 의원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면서 박 대통령과는 결별을 넘어 사실상 정적(政敵) 관계가 됐다.
유 의원은 이날 탈당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을 염두에 둔 듯 "어떤 권력도 국민을 이길 순 없다"는 말을 남겼다. /연합뉴스
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가 총선 후보 등록 전날인 23일에도 유 의원에 대한 공천 여부를 결정하지 않자 유 의원은 이날 밤 늦게 탈당을 선언했다.
당에 잔류해 '백의종군'하는 길도 있었지만, 정치적 재기를 모색하기 위해 탈당해 무소속으로 나서는 것이다.
유 의원은 당내 친박계로부터 불출마 압박을 받아 왔으며, 압박의 기저에는 유 의원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불편한 감정이 깔렸다는 게 중론이었다.
절체절명의 고비를 맞은 유 의원의 16년 정치 인생은 박 대통령과의 관계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다.
2000년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장으로 정계에 입문했던 그를 당시 당 대표이던 박 대통령이 대표 비서실장으로 발탁하면서 둘의 인연은 시작됐다.
유 의원이 비례대표 의원직을 내려놓고 2005년 보궐선거에서 현재의 지역구인 대구 동을로 출마해 당선될 때도 박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후문이다.
이후 유 의원은 2007년 대선 경선 때 박근혜 캠프의 정책메시지 단장을 맡는 등 박 대통령을 최측근에서 보좌했다.
박 대통령의 의원 시절 보좌진이던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등 청와대 비서관들을 유 의원이 "청와대 얼라('어린이'의 사투리 표현)들"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그러던 유 의원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당이 운영된 2011년을 전후해 박 대통령과 멀어지기 시작했다.
직언을 서슴지 않는 유 의원이 박 대통령의 행보를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한동안 '정치적 잠복기'를 거친 그는 지난해 원내대표로 화려하게 복귀했지만, 박 대통령과의 사이에 간 금은 멈추지 않고 오히려 벌어져만 갔다.
그는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전면 부정했다.
이를 두고 '아닌 것은 아니다'는 차원의 소신 발언이라는 해석과 집권 여당 원내대표로서 부적절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교차했다.
유 의원은 공무원연금 개혁 국면에선 행정입법에 대한 입법부 통제를 강화하는 야당의 국회법 개정안에 합의했다. 이는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이어졌다.
당시 박 대통령은 유 의원을 겨냥해 "배신의 정치"라고 언급했고, "경제 살리기에 어떤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유 의원은 결국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고 밝힌 헌법 1조의 가치를 "정치 생명을 걸고" 지키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발언이 자신에게 사퇴 압력을 가한 청와대를 '헌법 부정 세력'으로 규정했다는 해석을 낳았다. 박 대통령과는 돌이킬 수 없는 사이가 되고 만 셈이다.
유 의원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친박계 진영에선 이때부터 그를 '축출 대상'으로 삼았다고 한다.
결국 친박계인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당 정체성과 관련해 심하게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한 사람은 응분의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며 유 의원을 정면 겨냥했다.
원조 친박이던 유 의원이 당을 떠나게 된 데는 한번 눈 밖에 난 사람은 다시 신뢰하지 않는다는 박 대통령의 성품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상훈 의원은 전날 SBS 라디오에서 "왜 이런 과정까지 오게 됐는지 한 번 스스로 짚어봐야 하지 않겠나"라며 유 의원의 성품에도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비박(비박근혜)계의 아이콘'이 된 유 의원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면서 박 대통령과는 결별을 넘어 사실상 정적(政敵) 관계가 됐다.
유 의원은 이날 탈당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을 염두에 둔 듯 "어떤 권력도 국민을 이길 순 없다"는 말을 남겼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