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식 선거운동이 종료되면서 벌써 '포스트 정국'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어느 당이 집권하더라도 의회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하는 '여소야대'를 피할 수 없는 데다 대통령 당선자의 경우 바로 업무에 들어가야 하므로 정국이 긴박하게 돌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번 대선은 전직 대통령의 탄핵에서 비롯돼 누가 당선되더라도 이념·세대간 대결 구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갈등을 치유해야 하는 통합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 측은 '대세론'을 앞세워 대선 승리를 자신하지만 득표율이 얼마나 될지에 따라 대선이후 입지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막판 득표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승리하더라도 '압도적 지지'를 받는 수준이 아니라면 국정운영이 쉽지 않으리라는 지적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으로서는 문 후보가 당선된다면 국민의당·정의당과의 관계 설정이 주요 과제로 부상할 전망이다. 문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동안 경인일보를 비롯한 한국지방신문협회와 가진 인터뷰에서 "당선되면 통합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의 경우 당선 여부뿐 아니라 얼마나 득표하느냐에 따라 범보수 진영의 재편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만일 홍 후보가 '막판 대역전'에 성공하면 한국당은 집권 여당의 지위를 6개월 만에 되찾는다. 자연스럽게 보수진영도 홍 후보와 한국당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하고, 바른정당과 새누리당은 한국당의 '구심력' 영향권에 든다. 홍 후보가 낙선하더라도 '당당한 2위'의 득표율을 올릴 경우 한국당 내 홍 후보의 지분이 커진다.
자신의 표현대로 "'박근혜당'이 아닌 '홍준표당'"이 되는 것이다.
국민의당 역시 안철수 대선후보의 성적표에 따라 당의 명운이 좌우되는 것은 마찬가지다. 안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현재의 정국은 제3당인 국민의당 중심으로 급격하게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민이 이념적으로 양 극단에 있는 정치세력보다는 '중도'를 택했다는 의미가 있는 만큼 기존의 거대 양당체제가 무너지면서 그야말로 다당의 협력체제에 의한 국정운영이 시작될 전망이다. 국민의당의 경우 의석수가 40석에 불과하지만, 집권 여당이라는 지위를 갖게 되는 만큼 이런 협치체제와 정계개편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황에 따라 같은 야권진영의 1당인 민주당 내부의 균열이 촉발될 가능성이 크고, 범보수 진영의 이합집산 흐름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바른정당의 경우 유승민 후보가 만일 예상이상의 성과를 거둔다면 계속 생존할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당제 아래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일각에서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터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진보정당 최초로 두 자릿수 득표에 성공한다면 정의당 재도약의 발판을 확실하게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나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통해 각종 개혁입법을 주도하면서 진보정당으로서의 존재감을 뽐낼 수 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