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쓸신잡' 유시민이 과거 작성한 항소 이유서를 언급했다.
9일 방송된 tvN '알쓸신잡'에서는 순천과 보성을 방문한 유희열, 유시민, 황교익, 김영하, 정재승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알쓸신잡' 멤버들은 과거 유시민이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작성했단 '항소이유서'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김영하는 "당시 굉장한 화제였다. 법조계에서도 돌려봤다고 하더다"고 말했다.
당시 유시민은 1984년 서울대 학원 프락치 사건 주모자로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유시민은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형사지방법원 항소 제5부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했고, 이는 지금까지도 손꼽히는 명문장으로 유명하다.
유시민은 "항소 이유서로 책이 묶였는데 혹시 인세를 받았냐"는 김영하의 질문에 "인세는 없었다. 불법 복제돼서 한 것이기 때문에 책으로 묶어서 낼 때는 원고료로 좀 받았다"고 답했다.
이어 유시민은 "1심에서 1년 6월을 받았는데 난 한 대도 안 때렸다. 진술조서도 안 썼는데 내가 자백한 걸로 나왔다. 변호사가 써보라고 제안해서 썼다. 당시 26살이었다. 순수하게 쓴 시간은 14시간 정도 걸렸다. 퇴고는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항소이유서는 세 부를 만들어야 한다. 한 부는 교도소, 한 부는 법원에, 나머지 한 부는 검찰청에 보낸다"며 "초고도 뭣도 아무 것도 없었다. 첫 문장부터 마지막 문장까지 머릿속에서 생각한 후 썼다"고 말해 놀라움을 자아냈다.
유시민은 또 "나중에 학교로 돌아갔더니 선배들이 매 번 글 쓰는 일만 시켰다"며 "그 때 글쓰는 일로 밥 먹고 살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9일 방송된 tvN '알쓸신잡'에서는 순천과 보성을 방문한 유희열, 유시민, 황교익, 김영하, 정재승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알쓸신잡' 멤버들은 과거 유시민이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작성했단 '항소이유서'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김영하는 "당시 굉장한 화제였다. 법조계에서도 돌려봤다고 하더다"고 말했다.
당시 유시민은 1984년 서울대 학원 프락치 사건 주모자로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유시민은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형사지방법원 항소 제5부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했고, 이는 지금까지도 손꼽히는 명문장으로 유명하다.
유시민은 "항소 이유서로 책이 묶였는데 혹시 인세를 받았냐"는 김영하의 질문에 "인세는 없었다. 불법 복제돼서 한 것이기 때문에 책으로 묶어서 낼 때는 원고료로 좀 받았다"고 답했다.
이어 유시민은 "1심에서 1년 6월을 받았는데 난 한 대도 안 때렸다. 진술조서도 안 썼는데 내가 자백한 걸로 나왔다. 변호사가 써보라고 제안해서 썼다. 당시 26살이었다. 순수하게 쓴 시간은 14시간 정도 걸렸다. 퇴고는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항소이유서는 세 부를 만들어야 한다. 한 부는 교도소, 한 부는 법원에, 나머지 한 부는 검찰청에 보낸다"며 "초고도 뭣도 아무 것도 없었다. 첫 문장부터 마지막 문장까지 머릿속에서 생각한 후 썼다"고 말해 놀라움을 자아냈다.
유시민은 또 "나중에 학교로 돌아갔더니 선배들이 매 번 글 쓰는 일만 시켰다"며 "그 때 글쓰는 일로 밥 먹고 살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상은 인턴기자 ls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