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0601000398200018291
'청렴 경기'를 표방한 경기도가 올해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평가에선 중간 등급인 3등급을 기록했다. 경기도교육청은 4등급을 받아 전국 시·도교육청 중 하위권에 머물렀다. ┃표 참조

국민권익위는 6일 경기도·도교육청을 비롯한 573개 공공기관에 대한 올해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경기도·도교육청은 물론 평가대상에 포함된 경기도시공사·경기신용보증재단 등 광역단위 기관은 모두 중간등급에 그친데 반해 부천·광명·안성은 전국 기초단체 평가에서 1등급을 기록했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보다 종합점수는 0.41점이 올랐지만 등급은 2등급에서 3등급으로 한 단계 낮아졌다. 17개 시·도 중 6번째다. 전문가·업무관계자·주민들의 평가점수는 1등급을 기록했지만 오히려 도청 직원들의 내부 평가에서 4등급을 받았다. 조직 내에서 업무처리가 투명하거나 공정하지 않다는 평이 있었다는 것이다.

경기도교육청 역시 지난해보다 종합점수가 0.15점 상승했지만 등급은 4등급에 그쳤다. 17개 시·도교육청 중 14번째다.

도교육청의 경우 경기도와는 반대로 교육청 직원들의 내부 평가는 2등급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민원인 등의 대민업무 평가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대민업무 처리 과정에서 비교적 투명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평이 있었던 것이다.

도 관할 공직유관단체 중 이번 권익위 청렴도 평가에 포함된 곳은 경기도시공사·경기신용보증재단 2곳이었다. 두 기관 모두 3등급을 받았다.

경기신보의 경우 조직 내부와 외부 평가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도시공사는 공사 직원들 평가에선 2등급을 기록한 반면 민원인 등을 대상으로 한 외부 평가에선 4등급을 받아 정반대의 성적표를 받았다.

기초단체에선 부천·광명·안성이 전국 시 단위에서 청렴도 2~4위를 기록했다. 민원인 등 외부 평가에선 의왕·하남시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지만 시청 직원들의 내부 평가에선 안성·부천 등이 앞섰다. 김포시는 5등급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