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민간인통제구역에 자동통제시스템(RFID)이 구축돼, 지역주민들과 관광객의 출입절차가 한층 간소화될 전망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운용 제3야전군사령관은 19일 오전 3야전군사령부 중회의실에서 '2017년도 하반기 경기도-제3야전군사령부 정책협의회'를 통해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논의된 김포 민통선은 평화누리길, 애기봉 전망대 등을 중심으로 연간 50만명이 찾는 관광명소다. 문제는 이 지역 6개의 검문소 간 연계 시스템이 없어, 민간인이 민통선으로 들어갈 경우 신분증과 출입증을 검문소에서 교환 후, 다시 나올 시에는 해당 검문소에서만 출입증을 회수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

더욱이 이 같은 방식은 관광객뿐만이 아니라 민통선 내 거주민들에게까지 적용돼 출입방식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도와 군은 이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통해 민통선 출입자 자동통제시스템(RFID)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 사업엔 약 1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 중 실시설계 용역을 완료하고, 내년 말까지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