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해규 "교사패싱 없는 교권확보"
배종수, '교권헌장' 제정 입법청원
이재정 "20년차 이상 유급연구년제"
송주명, 학교조례로 학생인권 조화


스승의 날을 맞아 경기교육감 예비후보들이 교권확립을 위한 공약을 발표하고, 입법청원서를 제출하는 등 교사들의 표심(票心)을 향해 한목소리를 냈다.

임해규 경기도교육감 예비후보는 15일 교사 참여 확대·교사 연구년제 도입·수업시간 수 및 행정업무를 감축하는 내용 등이 담긴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임 후보는 "교육 현장에서는 주요 정책 현안에서 교사를 배제하는 '교사 패싱'이 비일비재하다"며 "그동안 진보교육감들은 학생인권 등 학생들에게 치우친 정책으로 교사들의 사기저하만 불러왔다. 이번 도교육감 선거는 교권을 확보하는 선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종수 예비후보는 이날 국회를 방문해 '대한민국교권헌장' 제정을 요구하는 입법청원서를 제출했다. 실질적인 안식년제도 입법정책 마련과 학교에 공문처리 전담팀 설치, 교사 전담과목 최소 3개월 전 예고제 의무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배 후보는 "헌법이 보장하는 인간의 존엄권과 행복추구권이 교육계 종사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교권헌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재정 예비후보는 20년 차 이상 교사 대상으로 내년부터 학기당 1천명·매년 약 2천명 '유급 연구년제' 시행 , 교권보호와 정책생산을 위한 '교권보호센터'와 교권침해 발생 시 교사 지원을 위한 '위기교사지원단'설치·운영, 교원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교육청 행정조직 개편, 교권보호 조례 제정 등을 공약했다.

송주명 예비후보도 교사들의 재충전을 위해 7∼10년 차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년제를 유급으로 보장하고 '민주주의 학교 조례'를 제정해 학생 인권과 교권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학교 폭력 피해자 중에 교직원들도 다수 포함됐다며 교육지원청별로 전담지원팀을 운영, 이들을 지원하고 교사 업무경감을 위해 학교 행정체계를 교무행정실과 일반행정실 등 2실로 개편한다는 입장이다.

/이경진·신선미·손성배기자 lk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