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내 최대 계파이자 집권 중추세력인 동교동계가 10·25 재보선 패배 이후 불거진 당정쇄신과 대선후보 선출시기 등 정치일정을 둘러싼 분란을 거치면서 급속한 분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동교동계 핵심인사들을 겨냥한 야당의 잇따른 비리의혹 폭로공세와 소장개혁파 의원들의 공격으로 동교동계의 대국민 이미지가 크게 실추된데다 범동교동계를 형성하고 있던 의원들의 국정 및 당 운영 과정에서의 소외감이 누적된 데 따른 '원심분리' 현상으로 풀이된다.
동교동계는 지난해 8·30 전당대회를 전후해 권노갑 전 최고위원과 한화갑 최고위원, 한광옥 대표 등 3개 축을 중심으로 분화될 가능성을 안고 있었으나 지난 9월 한 위원이 당정개편 과정에서 경선도전을 선택하고 “내 갈길을 가겠다”고 선언하면서 '3각 분화'가 사실상 공식화됐다.
김옥두 의원이 한 위원의 경선도전 선언후 “우리를 동교동계 구파로 부르지 말라”며 “사심을 가진 사람은 더이상 우리 동교동계가 아니다”라고 말한 것도 3각 분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발언이다.
한광옥 대표 체제는 권노갑 전 위원이 이끄는 동교동계 구파와의 연대에 의해 가능했으나 재보선 이후 한 최고위원과 소장파 연대세력의 당정쇄신 요구에 도전받고 있는 상황이며, 쇄신론이 대세를 이루면서 양측의 연대도 다소 느슨해졌다.
범동교동계의 '탈 동교동' 조짐도 주목거리.
안동선 상임고문은 권 전 위원의 정계은퇴 주장에는 반대하면서도 “청와대 인사정책이 잘못이지만 동교동계가 전혀 무관하다고는 할 수 없다”며 “이제 동교동계 안 한다”고 밝혔다.
이윤수 의원은 아예 “민심수습을 위해서는 동교동계내 지탄받는 1~2사람을 정리해야 한다”며 소장파에 가세했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의 뜻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던 동교동계가 대선후보 조기가시화 등 정치일정을 놓고 의견을 달리한 것도 결집력 약화를 보여준 대목이다.
당 주변에서는 이러한 동교동계의 결집력 약화 조짐은 향후 본격적인 대선후보경선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면 소속의원들의 개인적인 후보 선호도에 따라 한층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