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4번 진행비해 경기 2번불과
"실력가늠 곤란 상대적 수능 취약"
형평성 문제등 재학생 불만 잇따라
정부 정시확대 기조에 역행 지적도


경기도교육청이 정부의 정시 확대 기조에도 불구하고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학력평가)를 타 시·도 교육청보다 적게 실시하고 있어 도내 일선 학교 재학생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2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전국 각 시·도 교육청은 1년에 4번(3·6·9·11월) 학력평가를 주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등학교 1~2학년에게 시험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국 모든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규정해 실시하는 시험인만큼 재학생들이 학력평가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가늠하고 향후 대학진학 등에 참고한다.

그러나 경기도교육청은 학력평가를 타·시도의 절반인 6월과 11월 2번만 진행, 도내 재학생들 사이에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안성의 A고교에 재학 중인 1학년 강모(16)양은 "학력평가는 수능과 비슷한 환경의 시험 분위기를 느낄수 있고, 전국순위가 나오기 때문에 스스로 어느 정도 공부했는지도 알수 있다"며 "하지만 경기도는 타 교육청에 비해 학력평가를 적게 실시해 상대적으로 타 지역 학생들보다 수능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토로했다.

정부의 기조와 맞지 않는 정책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학부모 김모(47·고양시 탄현동)씨는 "교육부는 대입 정책을 발표할 때마다 정시를 늘려나가겠다는데, 도 교육청 정책은 거꾸로 가는 것이냐"고 볼멘소리를 했다.

도 교육청은 지난 2014년에 열린 각 시·도 교육감 회의를 통해 결정된 사항이라는 입장이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줄세우기식 평가를 줄여나가겠다는 원칙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학력평가를 늘려 실시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