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 지점·책임 소재 '정밀조사'
정부, 통신 3사 기지국 지원 검토
간접피해 보상 미정 불만 목소리

대규모 통신 장애를 일으킨 서울 KT 아현국사(아현지사) 화재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기 위한 관계 기관들의 합동 감식이 26일 시작됐다.

2차 감식에서는 각종 장비가 투입돼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 책임 소재를 따지는 정밀조사가 이뤄진다.

경찰과 소방, 한국전기안전공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KT 아현국사(아현지사) 화재현장에서 전날 1차 감식에 이어 2차 합동 감식에 나서 지하 1층 통신구 약 79m가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확인했다.

이날 감식에 나선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은 화재 원인(방화 가능성)에 대해 "관계 기관과 2차 합동 감식을 해야 수사 방향이 잡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도 통신 3사와 함께 전국의 모든 통신구에 대한 실태 점검에 착수해 연말까지 통신망 안전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아울러 소방법상 설치 의무가 없는 통신구에도 스프링클러와 폐쇄회로(CC)TV 등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재해 때 통신 3사가 기지국 등을 상호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대규모 통신장애에 따른 긴급조치다.

실제 지난 24일 오전 11시 12분께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에 있는 KT 아현국사 건물 지하 통신구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화재가 발생해 아현지사 회선을 쓰는 중구·용산구·서대문구·마포구 일대와 은평구·경기 고양시 일부 지역에 통신 장애가 발생했다.

KT가 제공하는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IPTV 서비스, 카드결제 단말기 등이 먹통이 돼 일대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소방서 추산 80억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한편 KT는 이번 통신장애 피해를 본 고객에게 1개월 치 요금을 감면키로 했다.

그러나 통신장애로 주말 장사를 망친 자영업자나 대리기사, 퀵서비스 등이 입은 '간접피해'에 대한 보상 방식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불만의 목소리도 터져 나오고 있다.

/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