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2201001615800077021.jpg
북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2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남북미 회의를 마치고 현지의 북한 대사관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과 북한이 스웨덴 스톡홀름 일대에서 첫 실무협상을 21일(현지시간) 마무리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스웨덴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스톨홀름 인근 하크홀름순드 콘퍼런스를 계기로 이뤄진 남북미간 회동이 "한반도 문제에 관한 건설적인 대화였다"며 "신뢰 구축, 경제 개발, 장기적 관여 등을 다뤘다"고 밝혔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하크홀름순드 콘퍼런스 참석차 지난 19~21일 실무협상을 가졌으며,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회담에 참여했다.

북미 및 남북미 실무협상은 '2월 말께'로 미국 백악관에서 발표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북미 비핵화 협상의 실무협상 파트너인 비건 대북특별대표와 최 부상의 회동이 처음 이뤄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이번 실무협상이 지난 17~19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워싱턴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과 고위급회담을 가진 직후 열렸다는 점은 북미간 협상이 속도를 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는 상황이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미국 방문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으며, 직후 백악관은 2차 북미정상회담이 다음달 말께 개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9012201001615800077022.jpg
스웨덴 외곽의 휴양시설에서 북미 실무협상을 마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2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시내 한 호텔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같은 흐름 아래에 처음으로 이뤄진 북미 실무협상은 물리적인 제약 등이 작용해 추가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미 간 첫 실무협상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스웨덴 외무부 등의 발표를 보면 긍정적인 것으로 보이나, 미국이나 북한 당국이 공식적인 평가를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에 따라 성과를 거론하기는 어렵다.

이번 만남이 북미 비핵화 협상 실무진간 첫 회동이었단 점에서 본격적인 협상 보다는 상견례 겸 탐색전의 성격을 띈 자리가 됐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북미가 그간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의 자리였으리라는 설명이다.

조성렬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전문위원은 "탐색적 대화의 성격인만큼 큰 틀의 로드맵을 만들기 보다는 남북미가 기존 입장을 공유하고 의제를 제시하는 자리였을 것"이라며 "대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트남으로 추정되는 정상회담 개최 장소는 경호·의전 문제 등으로 인해 발표를 늦추는 것일 수 있지만, 구체적인 날짜를 확정하지 않은 건 북미간 협상의 남은 불확실성을 반영한다는 분석이 많았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나 백악관이 가까운 시일 내 정상회담 일정을 발표한다면 실무회담의 진척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성렬 전 수석전문위원도 "북미가 최종 타결까지는 아니더라도 원칙적 합의에 도달한다면 정상회담 날짜를 발표할 수 있다"며 "이 경우 1차정상회담 보다 구체적인 이행을 포함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조 전 수석은 이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선 행동의 이행을 규정하는 구체적인 조항들을 포함하는 동시에 FFVD(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라는 목표를 중장기적으로 달성한다고 명시하는 합의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