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회사 2곳 이전 주민 500여명 취업
연간 재산세 80억원이상 납세 기여
지자체 부지수용지원·세금감면 등
혜택대비 경제적 효과 작다 주장도

경기도를 달구고 있는 네이버의 데이터 센터 조성 사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2013년 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로 강원도 춘천시에 자체 데이터 센터 '각'을 구축, 6년째 운영하고 있다.

당초 네이버가 제2데이터 센터를 조성하려던 용인시 공세동에서 2년간 갑론을박이 일었던 가운데, 그보다 앞서 데이터 센터가 들어선 춘천시에선 대체로 우호적인 평가 속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게 제기되고 있다.

춘천시 측은 센터 조성과 맞물려 네이버의 자회사 2곳이 춘천시로 이전, 주민 500명 이상을 고용하는 한편 연간 재산세 역시 80억원 이상 거둬들이는 등 지역 성장에 다방면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춘천시 관계자는 "데이터 센터라는 곳이 사람이 항시 드나들 수 있는 시설은 아니다 보니 동 떨어진 느낌을 줄 수는 있겠지만, 고용 창출은 물론 크고 작은 사회공헌활동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주변 대중교통 인프라가 늘어나는 등 간접적인 효과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반대 여론이 없지는 않다. 춘천시가 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네이버에 제공했던 혜택에 비해 네이버 측의 지역 성장 기여도는 크지 않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춘천지역 일각에선 센터가 들어선 후 주변 땅값이 50배 이상 폭등한 데다 센터 유치를 위해 강원도·춘천시가 부지 수용을 지원하고 각종 세금을 감면해주는 등 많은 혜택을 부여했지만 그에 비해선 경제적 효과 등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공세동과는 반발 양상이 다른 셈이다. 다만 공세동 주민들의 주된 반발 사유였던 전자파·오염물질 발생 민원은 특별히 주변 지역에서 제기되지 않았다는 게 춘천시 측 설명이다.

한편 네이버는 춘천시에 이미 구축된 데이터 센터의 2.5배 규모로 제2데이터 센터를 지으려고 했지만 공세동 조성이 불발된 만큼, 이같은 계획에도 변동이 생길지 관심이 집중된다.

경기도 지자체들 외에도 인천, 경북 포항, 전북 군산 등이 유치 의사를 밝힌 가운데 경기도 지자체들은 네이버 본사인 성남과의 인접성 등을 강점으로 앞세우고 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