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공감 경동산업 노동자들
1980년대 경동산업에서 투쟁했던 이들이 (주)키친아트에 설치된 '경동산업 노동자 추모비' 앞에서 故 강현중·김종하 열사를 추모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이영식, 안중준, 이종화, 김학철씨.

열악한 근로조건 '악명' 사측 구사대로 노동자 습격
구속된 동료 돕는다 '해고' 농성·분신으로 이어져

고통스런 기억 안 떠나… 30년간 거르지 않고 추모
부도후 재탄생 '키친아트' 개인 아닌 모두의 것돼야

2019090301000190900008918
198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굵직굵직한 일이 많았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이 열렸고, 전국을 휩쓴 민주화운동 영향으로 헌법이 개정돼 대통령선거는 직선제로 바뀌었다.

경동산업 노동자들에게 이 시기는 아픔으로 다가온다.

1985년 노동조합 설립을 위한 투쟁이 있었고, 1987년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동쟁의가 있었다.

이때 수십 명이 구속되는 아픔을 겪었다. 30년 전 오늘인 1989년 9월4일엔 회사 측의 부당한 징계 방침에 항의하며 노동자들이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다.

이들은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을 거두고 말았다. 故 강현중·김종하 열사다.

경동산업은 1960년 서울 구로구에 설립된 국내 최초 양식기 제조기업이다.

냄비와 프라이팬 등 주방용품을 생산했다. 1983년 인천 서구 가좌동에 제2공장을 설립했다.

1980년대 경동산업은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악명이 높았다고 한다. 직원들이 과로로 쓰러져 숨지기도 하고, 분신으로 목숨을 잃는 사고까지 있었다.

30년이 지났지만, 당시 경동산업 노동자들은 당시 목숨을 잃은 열사를 추모하고 있다.

최근 경동산업의 후신인 인천 서구 가좌동 (주)키친아트 정문에서는 30주기 추모제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 앞서 1980년대 '경동산업 투쟁'의 치열한 현장에 있었던 노동자들을 만났다. 강현중·김종하 열사의 동지들이다.

인터뷰 공감 경동산업 노동자들5

김학철(62)씨는 1987년 해고를 당했다.

당시 경동산업은 저임금과 추가 근로 등으로 악명이 높았다.

자녀들의 학비를 벌기 위해 공장에 나온 여성 근로자들이 과로로 쓰러지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임금인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김학철씨는 이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다가 4월21일 해고됐다.

이후 김학철씨는 출근 투쟁을 벌이며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투쟁을 독려했다. 경동산업 노동자들은 노동쟁의 중인 다른 사업장과 연대하기도 했다.

8월에는 파업을 진행했다. 보름간 이어진 파업 투쟁에서 경동산업 노동자들은 냄비를 두드리며 농성을 진행했다.

당시 인천 주안5·6공단 일대가 경동산업 노동자들의 냄비 두드리는 소리로 가득 찼다고 한다. 임금 인상을 얻어내는 성과를 얻었다.

인터뷰 공감 경동산업 노동자들6

하지만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사측과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노조가 폭력을 행사한 관리자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는데, 사측이 이를 수용하지 않은 것이다. 회사 측은 구사대(노동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사측에서 고용한 사람)를 이용해 노동자들을 구타했다.

'머리에 노란띠를 두르지 않으면 불순세력으로 간주한다'는 내용이 퍼졌고, 노란띠를 두른 200여 명의 구사대가 당시 노동자 사무실을 습격했다.

이때 노동운동에 참여했던 이들 중 다수가 구속됐다. 이를 '노란띠 사건'이라 불렀다. 김학철씨는 해고자 신분이었기 때문에 구속은 피했다.

김학철씨는 "노란띠 사건으로 구속된 노동자들을 뒷바라지했다"며 "해직자였기 때문에 노동자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았다. 계속 이러한 활동을 했고 89년에 있었던 투쟁에서는 출근길 교통정리와 청소를 담당했다"고 말했다.

이어 "87년에 노란띠 사건이 발생하지 않고 제대로 된 민주노조가 세워졌다면, 89년의 비극은 없었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2019090301000190900008917

그동안 김학철씨는 노동 열사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했다.

'민족민주열사 추모단체 연대회의', '국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등에 참여했다.

그는 "현재는 몸이 안 좋아 이전과 같은 활동을 하기 힘들어졌다"며 "2012년부터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그림에는 그동안의 경험과 아픔 등이 배어 있다"고 했다.

안중준(56)씨는 1989년 9월4일 강현중·김종하 열사가 분신했을 때 함께 있었다. 강현중 열사가 회장으로 있던 사내 모임 '디딤돌'의 총무로 활동했다. 디딤돌은 일일주점을 열고 풍물패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당시 회사 측은 디딤돌 간부인 강현중 열사와 안중준씨 등에게 해고를 통보했다. 추후 밝혀진 해고 이유는 디딤돌이 '해고자와 어울린다', '불법 티켓을 팔았다' 등이었다.

디딤돌 회원 등은 회사 측의 부당한 징계에 항의하는 농성을 진행했고, 결국 분신으로 이어졌다.

4명이 화상을 입었고, 1명이 할복했다. 회사 측 강의신 노무이사도 화상을 입어 목숨을 잃었다. 분신으로 인해 안중준씨도 전신에 큰 화상을 입었다.

이때 사고는 당시 언론에도 크게 보도되는 등 주목을 받았다. 경인일보는 1989년 9월5일자 신문에서 '농성근로자 5명 분신소동'이라는 제목으로 보도했으며, 같은 날 '친목회 조직 징계가 도화선'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사건 배경 등을 알렸다.

인터뷰 공감 경동산업 노동자들

안중준씨는 "당시 사고를 막기 위해 화기 같은 것을 수거했지만, 안타까운 사고가 났다"며 "조금만 더 치밀했으면 이길 수 있는 싸움이었다. 우리 동지들의 희생도 막을 수 있었다"고 했다.

안중준씨는 사고 이후 자살 방조 등의 혐의로 3년간 복역했다. 그는 "동지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고통스럽게 살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30년 동안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추모 사업을 개최하는 동지들에게 감사하다"며 "엄청난 사건이었기 때문에 트라우마가 있다. 고통스러운 기억들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편안한 삶을 살 수 없었다"고 했다.

경동산업 노동자들은 1989년 사고 이후 매년 묘소를 참배하며 열사들을 추모했다. 올해는 30주기를 맞아 지역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이종화(56)씨는 경동산업 후신인 키친아트에서 일하고 있다.

이종화씨도 1989년 9월4일 분신 현장에 있었고, 전신에 화상을 입었다. 그도 '디딤돌'에서 활동했다. 그는 자살 방조 등의 혐의로 집행유예를 받았다.

인터뷰 공감 경동산업 노동자들3

2명이 목숨을 잃은 '9·4 투쟁'에서 40여 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종화씨 등은 1994년 '경동산업 해고노동자 복직투쟁위원회'를 구성하고 농성을 진행했다. 4개월에 걸친 농성 끝에 복직이 이뤄졌다.

하지만 경동산업은 점차 사세가 기울면서 2000년 부도를 맞았고, 2001년 키친아트로 재탄생했다.

키친아트는 '공동소유, 공동책임, 공동분배'를 사훈으로 내건 노동자자주관리기업이다.

이종화씨는 "해고와 복직을 반복했지만, 이 기간을 모두 합하면 30여 년을 경동산업과 키친아트에서 일했다"며 "사훈처럼 공동소유, 공동책임, 공동분배가 이뤄지는 회사가 되었으면 좋겠다. 회사는 어느 한 개인이 아니라 직원 등 모두의 것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글/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