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는 송도와 청라 등 두 곳 신도시에 광역폐기물소각장이 있다. 그 중 2015년이 내구연한인 청라소각장의 현대화가 첨예한 민원 대상이 되고 있다. 현지 주민들이 '현대화'를 처리시설의 '증설'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2001년 가동을 시작한 이 소각장은 중구와 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등 6개 지역의 생활폐기물 소각처리를 담당하고 있는데 시설 과부하를 우려해 하루에 처리해야 할 물량의 70∼80%만 소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처리용량의 증대가 시급하지만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직면해 있다. 주민들은 청라소각장의 '증설'은 폐기물 발생지 처리원칙에도 부합하지 않고, 이미 많은 환경유해 사업체가 있어 그 피해를 고스란히 입고 있다면서 이 참에 소각장의 폐쇄와 이전을 요구한다.

청라소각장의 처리용량 증대는 인천시가 이미 대내외적으로 선언한 기존 수도권쓰레기매립지 대책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사안이다. 오는 2025년 예정대로 수도권매립지의 사용을 종료하고, 서울·경기·인천 3개 시·도가 자체 매립장을 확보해 각자 처리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 방안은 생활쓰레기의 직매립을 지양하고 소각한 뒤 남는 재만 묻는 친환경 매립이 핵심이다. 인천시는 현재 하루 250t의 생활 쓰레기를 수도권매립지로 보내고 있는데 이를 전량 소각하기 위해선 기존 소각장의 현대화, 즉 처리용량 증대가 전제돼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주민들의 반대를 뛰어넘기가 만만찮다. 지난해 6월 증설을 전제로 한 현대화사업 타당성조사에 착수했다가 주민 반발로 접은 사례가 있다.

인천시가 다시 청라지역 주민 설득에 나섰으나 시작부터 난항이다. 지난 16일 첫 설명회는 시 계획에 반대하는 청라지역 주민들이 몰려들어 파행을 겪었다. 가까스로 설명회가 시작된 이후에도 마찰이 이어졌다. 시는 증설이 아니라 기존 처리용량을 유지하면서 고장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해명하고 있으나 주민들은 이를 믿지 않는다. 주민들은 특히 요즈음 홍콩시위에 등장하는 우산을 들고 나오는 등 신도시 특유의 조직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늘 예정된 2차 설명회에서도 똑같은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자칫 물리적인 충돌사태로 이어지지나 않을까 염려된다. 청라지역 주민, 인천시 그리고 내년 총선을 의식해 이 판에 뛰어든 정치인들까지 이해관계자 모두의 현명한 판단과 신중한 자세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