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전철등 우선 대체인력 확보
인천시·경기도 버스 추가투입 계획


국토교통부는 철도노조가 노사 간 임금교섭 결렬로 오는 11일 오전 9시부터 14일 오전 9시까지 72시간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이에 따른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비상수송대책은 파업이 예고된 이후부터 철도공사, 국방부,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전국고속버스운송조합,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등 운송관련단체 간 협의를 통해 마련했다.

최근 철도노조의 파업이 있었던 2016년과 비교해 볼 때 경강선 등 새로운 노선이 개통돼 기관사의 여유 인력이 감소했고,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근로시간이 축소되는 등 여건 변화로 인해 열차운행률이 낮아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활용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철도공사 직원 및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인력을 국민 민감도가 높은 출퇴근 광역전철 및 KTX에 우선적으로 투입해 주어진 여건 하에서 열차운행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필요시 경인선(구로∼인천), 수인선(오이도∼인천) 구간에 광역버스 차량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고, 경기도는 출퇴근 시간에 버스를 집중적으로 배차하거나 광역전철 노선별 이용수요 증가 추이를 지속적으로 살피면서 이례상황 발생 시 예비버스 및 전세버스 투입 등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열차운행 등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철도공사 내부 인력 및 군기관사 등에 대해 산업안전보건법 및 철도공사 내부 규정 등에 따른 전문교육 등을 철저히 한 뒤 현장에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비상수송대책에 따른 열차운행계획이 확정되는 즉시, 열차 운행 정보를 철도 이용자에게 적극 안내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임금협상 결렬로 파업을 하게 되면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떠안게 되므로 철도공사 노사는 파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여 협상에 임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부터 철도노조는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이날 오전부터 기차를 출고시킬 때 필요한 작업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는 방식으로 준법투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들이 짧게는 20분에서 길게는 1시간 정도 출발이 지연됐다. 서울지하철 9호선 일부 구간 담당 노조도 이날 파업을 시작했지만 큰 혼란은 없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