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대처 매뉴얼·관리담당자 공유
공무원 음용 음수대 확대 '신뢰회복'
본부장 권한·연구소 전문성도 강화
붉은 수돗물 사태 재발 방지 대책을 만들고자 출범한 '인천시 상수도혁신위원회'가 '수돗물 관리·운영 투명성 강화' 등을 골자로 한 단기 과제를 내놨다.
인천시 상수도혁신위원회는 10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8월 16일부터 56일간 토론해 도출한 7가지 단기 과제를 제시했다.
혁신위는 우선 내년부터 시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수돗물 수질은 물론 단수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단계별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들이 한강 원수부터 집 수도꼭지에 이르는 상수도 관망과 수질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도 공유하기로 했다. 평상시와 비상시 관로·수질 유지 관리 담당자를 공개해 책임성도 강화하기로 했다.
시청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수돗물을 직접 마실 수 있는 '음수대'를 확대 설치해 나간다는 내용도 과제로 담았다. 직원들이 수돗물을 직접 마시며 수돗물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해 나가야 한다는 목적에서다.
상수도사업본부장의 직급을 현재 3급에서 2급으로 올리고, 2~3년제 임기제로 하는 조직 혁신 방안도 마련했다.
이는 지난 적수 사태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의 직급이 낮고 권한이 적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혁신위는 전문성과 책임성을 담보하면서도 본부장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상수도사업본부 안의 수질연구소의 전문성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인천 상수도사업본부의 수질연구소는 수질만 연구하고 있으며 적수 사태의 주 원인이었던 관로 연구 분야는 살필 수 있는 조직이 없다.
혁신위는 수질연구소 예산을 현재 상수도 요금의 0.28% 수준에서 2%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고 관로 연구까지 분야를 확대하기로 했다.
전국 최초로 수돗물 운영·관리를 위한 '민·관 거버넌스' 구성 조례도 만들어 시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시 공무원, 학계, 연구기관, 시민단체 등 23명으로 구성된 시 상수도 혁신위원회는 이번 단기 과제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중기 과제, 내년 말까지 장기 과제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들이 마련한 과제는 시가 실현 가능성 등을 검토해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수돗물 수질 상태' 스마트폰으로 확인
인천시 상수도혁신위 '적수사태 재발 방지' 7대 단기과제 제시
입력 2019-10-10 22:13
수정 2019-11-26 20:2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0-11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