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67곳 이행실적 점검
道 다문화가정 화재 행동요령
매뉴얼 10개국어 제작등 성과

경기도와 고양시 등 전국 79개 기관이 지난 한 해 동안 국민 안전교육을 충실히 실시한 기관에 선정됐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등 267개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작년 한 해 동안 추진한 국민 안전교육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20일 점검결과를 발표했다.

각 점검단위별로 우수기관을 살펴보면 중앙부처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해양경찰청 등 6개 기관이 선정됐다.

시·도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등 5개 기관이 선정됐고 시·군·구는 고양시와 서울 구로구, 경북 김천시 등 68개 기관이 선정됐다.

안전교육 추진 우수사례를 살펴보면 경기도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화재 시 행동요령, 심폐소생술 등 소방안전 매뉴얼을 10개 국어로 제작해 활용했다.

또한 도내 주요 행사를 연계한 안전체험교육을 실시하고 사회복지시설 및 요양병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한 것이 주요 내용으로 적용됐다.

이번 실태점검은 2017년 5월 시행된 '국민 안전교육진흥기본법'에 따른 것으로, 안전교육 추진기관을 대상으로 전년도 안전교육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제도로 올해 처음 실시했다.

행안부는 안전교육 추진 우수사례를 각 기관에 공유하는 한편, 안전교육 추진사항이 미흡한 분야에 대해서는 개선점을 마련해 내년 안전교육 시행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안전교육은 유사시 무의식적으로 행동이 즉시 나타나도록 몸으로 기억하는 체험 위주의 교육이 돼야 한다"면서 "안전교육 추진 주체인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체험 교육 등 안전교육이 체계화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