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경제활성화 '도민 호응'
한식점 등 영세업장 상위권 차지
일반발행 1582억, 골목상권 풀려
경기도의 핵심 사업인 '경기지역화폐'가 시작한 지 6개월 만에 연간 전체목표의 1.5배를 달성하는 등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6~10%에 달하는 인센티브와 함께 지역 경제를 살린다는 취지에 힘입어 도민들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는 '올해 3분기 경기지역화폐 발행 및 사용실적'을 집계한 결과, 일반도민이 직접 구매한 경기지역화폐의 액수를 나타내는 '일반발행' 3분기(1~9월) 누적액은 총 2천66억원으로 이미 올해 목표치인 1천379억원을 49.8% 초과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4월1일부터 도내 31개 시군 전역에 발행된 점을 고려할 때 본격 발행된 지 불과 6개월만에 올해 목표치의 1.5배 수준을 달성한 셈이다.
발급형태별 발행실적을 보면, 카드형이 1천254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지류형 509억원, 모바일형 303억원 등의 순이었다.
이와 함께 '일반발행 사용액'은 총 1천582억원으로, 도민들이 직접 구매한 경기지역화폐 2천66억원 가운데 76.6%가 실제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사용액 가운데 '카드형 지역화폐'로 결제된 874억원의 사용처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일반한식점이 23.7%(206억여원)로 가장 높았으며 ▲슈퍼마켓 7.4%(64억여원) ▲서양음식점 6.1%(53억여원) ▲보습학원 5.6%(48억여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정육점, 미용원, 스낵, 제과점 등 영세소상공인 업종이 상위 30개 업종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는 경기지역화폐를 대형마트나 SSM(기업형 슈퍼마켓)과 유흥업소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점, 연간매출액 10억원 이하 업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지역화폐로 사용된 1천582억원 대부분이 골목상권이나 영세소상공인에 풀린 것으로 보고 있다.
오후석 도 경제실장은 "경기지역화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같은 지역사랑상품권의 본래 기능은 물론 소상공인, 골목상권보호 등의 목적도 겸하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
경기지역화폐 2066억 결제… 6개월만에 연간목표 '1.5배'
입력 2019-10-29 21:5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0-30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