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극성이 공무원 탓도 아니고…. 관용차도 배차가 제대로 안되고 있을 정도입니다."

지난 12일 오전 수원시 중심에 위치한 팔달산 기슭의 한 비탈길. 경기도청사 인근인 이곳은 시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해 골목골목마다 차들이 빼곡히 주차돼 있었다.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공2부제 탓인데 이날은 짝수 번호판 차량만 청사에 주차를 할 수 있어 청사 밖 좁은 골목에는 '홀수 번호판' 차량들이 유독 눈에 많이 띄었다.

인천시는 본청에 있는 공용차 89대 가운데 57대가 2부제 적용 대상으로 400여개팀이 28대를 고루 나눠 써야 하면서 배차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시의 한 직원은 "부서에 따라서는 현장을 이곳저곳 다니며 급하면 택시를 타고 다니면서 소화하고 있을 정도다"고 토로했다.

의정부시는 2부제 대상 공공차량 55대 가운데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차와 전기차 등이 대부분이어서 그나마 사정은 나은 편이지만 관용차량 배차는 예전보다 힘들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처럼 정부가 지난 1일부터 내년 3월31일까지 수도권과 6개 특별·광역시 공공기관에 공공 2부제를 실시하기로 했지만 정부의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공무원들의 개인차량은 물론, 관용차량까지 번호판 끝 번호로 '홀짝'으로 운행을 해야하기 때문에 볼멘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비상저감조치 때는 쓰레기를 수거해야 하는 화물차도 원칙적으로는 통행하지 못하게 해 정작 필요한 민원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을 정도다.

인천의 동 주민센터의 한 직원은 "쓰레기를 치워달라거나 복지 관련 민원 등 급한 경우는 그냥 운행해야 하는 수밖에 없을 때가 많다"며 "몇 대 되지도 않는 동 단위 차량까지 제한하면서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은 정부가 생각하지 못한 비현실적 대책"이라고 말했다.

/조영상·김도란·윤설아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