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중구·동구지역의 옛 산업 유산을 중심으로 한 건축자산 보전 계획 수립에 나섰다.
인천시는 21일 '건축자산진흥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어 이 같은 논의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인천시는 지난 2018년 5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1년6개월간 인천연구원, 인하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인천시 건축자산 기초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중구 옛 인천우체국, 만석동 옛 조선 기계제작소 사택, 일진전기 등 492개를 건축 자산으로 선정했다.
시는 이 기초조사의 후속 조치로 492개 건축자산에 대한 세부 조사를 벌이고 보전·활용 실행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개인·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시설물을 꼭 지자체가 매입하지 않고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도 따져보기로 했다.
시는 이날 회의에서 황순우 건축사사무소 바인 대표와 옛 산업유산이 밀집한 중·동구 지역을 한데 묶어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가 선정한 건축자산 492개를 지역별로 보면 중구가 195개, 동구가 59개로 가장 많다. 인천항 구 갑문청사, 일진전기, 차이나타운, 자유공원 등 주로 개항이나 산업시설과 관련됐다는 것이 공통적이다.
시는 북성포구·화수부두와 그 일대 건축자산이 헐리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되 최종적으로는 이 일대 개발을 제한하는 방안까지도 구상하고 있다. 역사성이 있는 건축자산이 헐리는 것을 막고 구도심 활성화까지 꾀하겠다는 목표다.
시는 매입이 가능한 건축자산은 선별해 매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민간 개발 행위가 함부로 이뤄지지 않도록 개별 건축주와도 긴밀하게 협의하기로 했다.
최도수 인천시 건축계획과장은 "지난해 마친 기초조사는 인천 건축물 전반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라면 이번에는 이를 토대로 재원 조달 방안, 구체적인 건물 현황 파악, 밀집구역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며 "이번 2차 추경 예산에 용역비를 반영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인천시, 중·동구 중심 '건축자산 보전계획' 수립
매입 재원 조달·구역 활성화 논의
입력 2020-04-21 21:50
수정 2020-04-22 11:32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4-22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