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병원_권역외상센터.jpg
가천대 길병원 등이 운영하는 권역외상센터가 인천지역 중증 외상환자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은 가천대 길병원 권역외상센터 모습. /경인일보DB

인천시가 보건복지부 '지역외상체계구축 시범 사업'의 광역지자체 사업자로 선정돼 가천대길병원 등과 함께 인천지역 맞춤형 외상진료지침을 마련해 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은 지자체와 지역 소방본부, 권역외상센터를 포함한 응급의료기관 등이 체계적으로 지속 소통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인데 인천시는 첫 번째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 사업은 외상 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과 전원 조치로 '예방 가능한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예방 가능한 사망률이란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의 비율로 2017년 기준 19.9%다.

인천시는 인천권역외상치료센터인 가천대길병원과 함께 정부 시범 사업에 도전해 제주도(제주한라병원)과 함께 선정됐다.

인천시는 길병원과 협업 체계를 이뤄 이달부터 2022년 말까지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내년 3월까지 인천시, 소방본부, 해경, 인천연구원, 권역외상센터를 비롯한 19개 응급의료기관, 민간이송업체 등이 참여하는 지역 외상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거버넌스는 환자 발생 시 현장에서 중증도를 분류해 적절한 이송병원을 선정하고, 응급헬기 운용 등 출동체계를 마련하는 기능을 한다.

이어 2021년 12월 말까지 이 거버넌스를 제도화해 관련 조례를 만들고, 사업을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런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 2022년 12월 말까지 지역외상거버넌스를 확대해 전문의료인력 영입과 진료역량 강화 방안 마련, 대시민 홍보 활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김혜경 인천시 건강체육국장은 "유관 기관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인천지역 특성에 맞춘 외상진료지침을 마련해 현장에 적용하면 예방가능 사망률과 장애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는 심각한 외상을 입어도 목숨을 지키고, 일상생활을 회복할 수 있는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의미"라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