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5도를 비롯해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의미 있는 발걸음이 최근 인천에서 시작됐다. 지난 12일 인천지역 시민단체와 학계가 '한반도 서해평화 추진위원회' 설립을 위한 준비모임을 가진 것이다. 이들은 서해 평화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서해5도를 바로 알리는 한편 서해 평화가 지닌 가치를 재발견,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을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서해의 평화와 관련해 민간 주도로 탄생하는 협의체란 점에서 '한반도 서해평화 추진위원회'에 눈길이 간다.

사실 서해 5도는 지리적으로, 군사적으로 남북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임에도 불구, '연평해전', '천안함', '연평도 포격전' 등 남북 분쟁이 극단적으로 표출될 때 외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안보적 불확실성과 맞물려 평화를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데도 인명 피해와 물리적 파괴를 가져오는 대형 사건이 터질 때만 한시적으로 관심을 받는 게 고작이었던 것이다. 물론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전을 계기로 '서해5도 지원 특별법'이 제정되는 등 전환점을 맞기도 했으나 법 자체가 주민들의 정주 여건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터라 서해 평화를 담보하는 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렇다 보니 서해 5도는 남북 분쟁지역 이상의 의미를 벗어나지 못한 채 그저 서해 서북지역의 외딴 섬 정도로만 알려져 왔다. 대한민국 서해 영해선이 태안반도 인근까지만 그려져 있는 초등·중등 교과서나 정부 간행물은 서해5도가 얼마나 국민적 관심에서 벗어나 있는지를 방증하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점에서 '한반도 서해평화 추진위원회'는 무감각에 가까운 서해 5도에 대한 국민적 인식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독도 바로 알기'와 같은 대국민 캠페인을 비롯해 '서해5도 수역 평화 문화·출판 사업', '서해5도 수역 지도 바로잡기' 등이 이들이 구상 중인 사업이기 때문이다. 조직이 활성화된다면 서해5도 주민들의 숙원인 이동권과 정주권, 조업권을 보장하고 가칭 '서해 평화 기본법' 제정 등 서해의 영구적 평화를 도모하는 데에도 큰 힘이 될 수 있다. 조만간 공식 출범하게 될 '한반도 서해평화 추진위원회'가 서해 바다를 평화와 번영으로 안내하는 등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