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연기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수습되지 않고 있다. 송영길 대표가 지난 주말까지 결론을 내리려 했으나 당내 주자들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이광재·김두관 의원 등은 코로나19 상황과 하한기에 경선이 치러진다면 국민의 주목을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보다 역동적인 경선을 통해 흥행에 성공하기 위해서라도 국민의힘보다 먼저 경선을 치러선 안 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들은 경선 연기를 위해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한 상태다. 그러나 여권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경선 연기를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선연기를 의총에서 결정할 수 있느냐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재명 지사 측은 경선 연기는 원내 문제가 아니라 당 전체의 일이기 때문에 의총에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의견을 들어 의총에서 경선 연기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적법하거나 유효하지 않다(민형배 의원)고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 당헌 88조에는 '대통령 후보자 선출은 대통령 선거일 전 180일까지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물론 단서 조항에 따라 당무회의 의결을 통해 경선 일자를 연기할 수 있다.

경선 연기론의 여러 명분에도 불구하고 경선 연기를 둘러싼 이견은 정치적 유불리에 따른 것이라고 보는 게 상식이다. 당헌 당규에 명시된 일정대로 경선이 진행되면 이재명 지사가 대선 후보로 결정될 가능성이 다른 후보군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경선연기론과 반대론이 부딪친다는 추론이 합리적이다. 어떤 사안이든 이해관계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갈등은 원칙에 따를 때 분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당내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경선 연기가 문제 될 것이 없다. 실제 2007년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측이 이명박 측에게 경선 연기를 요구했고 이를 받아들인 선례도 있다. 그러나 현재 민주당의 상황은 그렇지 않다.

우선 경선 연기는 원칙에 맞지 않는다. 경선을 흥행 위주로 보는 시각도 바꿔야 한다. 이미 민주당은 지난 재보선에서도 규정을 고치면서까지 후보를 냈으나 패배함으로써 명분은 물론 실리조차 잃었다. 민주당은 당헌 당규에 규정된 일정에 따라 후보를 결정하고 현재의 당내 진영 논리에 치우친 구조와 중도층 표심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개혁과 혁신을 모색하는 게 대선 전략에 부합하는 길이다. 결정은 당의 몫이지만 지도부가 빠른 결단으로 갈등을 봉합해야 한다.